조 재 석 교수(대구한의대학교) 토머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년)의 ‘유토피아’ 정식명칭은 ‘국가의 최선 정체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Libellus……de optimo rei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이다. 가공의 인물 휴트로에우스가…
윤 성 식 교수(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국내 낙농산업의 장래가 어둡다는 하소연을 들은 지 오래다. 설상가상일까, 구랍 안성지역 낙농목장에서 시작된 구제역 때문에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조차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보낸 축산인들이 많았을 게다. 지난해 국제낙농올림픽이라는 ‘IDFWDS2018’ 행…
김 동 균 이사장(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진화론자들은 인류가 오늘날 살아남은 원동력은 생존을 위한 끊임없는 투쟁과 적응의 결과라고 보고 있다. 말 자체에는 모순이 없지만 우리의 눈앞에 전개되는 모든 현상들은 무척 다양한 요인들이 얽히고설켜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 결과를 간단히 한마디로 표현…
[축산신문 기자] 전중환 연구사(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이면과의 조우 이면(裏面)이라함은 사물의 보이지 않는 뒷면 혹은 보다 진실적인 내면의 모습을 뜻한다. 보이지 않고, 알 수 없는 이면이라는 특성은 늘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판도라의 상자와 같은 것이다. 최근 중국은 달의 이면을 살펴보기 위…
[축산신문 기자] 신창섭 대표(㈜버박코리아)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걸려 죽은 사체가 대만의 해안으로 밀려온 뉴스가 있다. 물론 대만에서 중국 본토와 아주 가까운 섬이기는 하나 뉴스 그 자체만으로도 아찔함이 오는 느낌이다. 또 다른 뉴스는 중국에 구제역(FMD)의 발병 소식이 자주 들어…
[축산신문 기자] 조재석 객원교수(대구한의대학교) 경제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한정된 재화와 용역을 생산, 유통, 소비, 분배하는 활동이다. 공동체의 자원은 유한하고 개인의 물질적 욕망은 크기 때문에 일어나는 우리 삶의 갈등의 근원지이다. 철학은 학문의 왕이고, 경제학은 사회과학의 여왕이라…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남들은 막걸리를 술이라지만/ 내게는 밥이나 마찬가지다./ 막걸리를 마시면/ 배가 불러지니 말이다.// 막걸리는 술이 아니다./ 옥수수로 만드는 막걸리는/ 영양분이 많다./ 그러니 어찌 술이랴.// 나는 막걸리를 조금씩만/ 마시니 취한다는 걸 모른다./ 그저 배만 든든하고/ 기분…
류 경 선 교수(전북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지난 2017년 살충제 계란 사건과 AI 발생을 이유로 파생된 살처분 때문에 한때 산란계 사육수수가 감소됐었다. 이 여파로 폭등한 계란 값 때문에 산란계 사육 농가들의 병아리 입식 과열로 지난해부터 지금까지도 산란계농가는 과잉공급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윤 성 식 교수(연세대학교생명과학기술학부) 금년도 우유생산량이 작년 수준을 약간 밑도는 203만 톤 정도에 그칠 전망이다. 신생아 출산율이 낮다보니 학교 교육은 물론이고 식품산업도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음용유 소비량도 내리막길에 접어든 게 벌써 여러 해 되었다. 농가는 매년 원유 생산량…
김 동 균 이사장(前 상지대 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필자가 대학 기숙사 생활을 할 때의 일이다. 당시 우리는 정기적으로 저명인사 초청강연회를 열었다. 하루는 고승 한 분을 모셔왔다. 그 분은 젊은 청중들에게 물었다. “여러분 왜 삽니까?” 어리둥절한 질문을 받고 학생들은 저마다 머릿속에 적당…
[축산신문 기자] 김유용 교수(서울대학교) 쌀 산업은 우리나라 농업 가운데 부동의 1위 산업으로 2015년까지 이어져 왔다. 하지만 2016년부터 농업 생산액 1위 품목이 양돈산업으로 바뀌고 쌀 산업은 2위로 내려앉았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국내 소비자들의 식생활패턴이 이전과는 크게 달라…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축산환경과) 지금 우리들은 동물복지라는 새로운 이데올로기(Ideologie)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TV나 인터넷에서는 동물복지와 관련한 뉴스와 정보들로 넘쳐나고 있으며 동물들을 얘기할 때에는 동물복지라는 단어가 빠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