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 경 우 교수 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필자가 근무하는 학과의 명칭은 동물자원과학과이다. 동물자원이라는 이름은 누구에게나 익숙하겠지만, 과거에는 축산학과라고 더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축산학과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했던 것이었을까? 축산 명칭 대신에 동물…
[축산신문] 양 창 범 전문위원(한국농업개발원) 한반도에서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역사를 함께 하여온 한우는 축산업의 상징이고 자존심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우산업의 현실은 사면초가(四面楚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어려운 것이 전문가와 현장의 목소리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짧게나마…
[축산신문] 서 성 원 교수(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축산신문에 게재할 논단을 요청 받고 머릿속에 노래 한 구절이 떠올랐다. 임재범 ‘너를 위해’의 유명한 가사인 ‘내 거친 생각과 불안한 눈빛과 그걸 지켜보는 너’라는 구절이었다. 아마도 지금 축산을 지켜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이와 다르지 않…
[축산신문]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2025년 1월 7일,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에서는 큰 산불이 발생했다. 그리고 그 불은 여러 장소에서 발생하여 같은 달 31일까지 계속되었다. 이 뉴스는 한인이 많이 거주하는 LA 지역에서 발생하였고, 최대 산불인 팰리세이즈 산불이…
[축산신문] 김현범 교수(단국대 생명자원학부 동물자원학 전공) 로피 디스크로 컴퓨터를 부팅하고 사용했던 시절을 기억하는 이가 많지 않을 듯하다. 고도화된 과학적 진보가 현실에 적용되고 있는 시대를 살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는 이러한 초기 컴퓨터는 이제 박물관에서나 접할 수 있는 골동품이 되지…
[축산신문 기자] 김충현 교수(호서대 동물보건복지학과) 최근 MBC 방송연예대상 프로그램에서 사회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에게 방송연예 대상 수상자를 예측해 달라는 질문을 했다. 놀랍게도 AI는 대상 수상자를 정확하게 맞췄다. 필자는 AI에게 평소 궁금하였던 “10년 이후 국…
[축산신문] 김 민 수 대표 애그스카우터 농업경제학 박사 2024년 미국 대선에서 유세장마다 빌리지 피플의 경쾌한 디스코 음악 ‘YMCA’가 흘러나오고 이내 ‘MAGA’라고 쓰여있는 빨간 모자를 눌러 쓴 거구의 인물이 등장해서는 양손의 주먹을 불끈 쥐고 ‘미국을 또다시 위대하게 만들자(Make A…
[축산신문] 김 성 진 소장(아태반추동물연구소) 대한민국은 가짜 뉴스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몸살을 앓고 있다.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는 저서 ‘넥서스(Nexus)’에서 인간이 “정보는 곧 진실”이라고 쉽게 믿어버리는 순진한 정보관에 대해 강력히 경고한 바 있다. 그는 특히 거짓 정보와 잘못된 정…
[축산신문] 곽춘욱 고문(벤코코리아(주), 전북대 겸임교수)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불은 아래에서 위로 솟는다”는 것은 진리(眞理)이자 순리(純理)다. 작금에 이러한 순리에 어긋난 일이 정치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국내 현실은 이제까지 애써 쌓아온 우리들의 금자탑이 속절없이 무너지는 것 같아…
[축산신문] 이 만 영 박사(한국양봉학회 고문) 꿀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하나의 벌통에 한 마리의 여왕벌, 수십에서 수백 마리의 수벌, 수천에서 수만 마리의 일벌 등으로 구성되어 봉군(벌무리)을 형성하고 있다. 일벌의 일령별 임무가 정해져 고도의 사회성 곤충으로 불리면서 집단생활을 한다. 꿀벌의 종족…
[축산신문] 송대섭 교수(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바이러스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2019년-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최초발생 2023년-아프리카 돼지열병 유전자형1, 유전자형2, 재조합 모자이크 바이러스 중국과 베트남에서 보고 2024년-베트남와 태국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임상증…
[축산신문] 김성훈 대표(피그진코리아) 한돈산업은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을 중심으로 종돈, 사료 등 후방산업과 가공, 유통 등 전방산업을 포함하여 소비자에게 돼지고기를 공급하는 산업전체를 아우르는 산업이다. 한돈산업은 24조5천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돈산업과 연관된 산업의 고용을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