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시작하며 우리가 살아오면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진화론에 대해 한 번씩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학창시절 수업시간에 선생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던 기억을 떠올릴 것이고 어떤 사람은 TV 다큐멘터리나 책을 통해서 ‘진화론’…
윤 요 한 교수(숙명여자대학교) 우리나라 유가공 산업의 현황이 시간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그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식습관 변화에 의한 소비의 감소, 출산율의 급감, FTA 체결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제품 수입 등이 우리나라 유가공 산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여기에 코로…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시작하며 ‘닻을 올린다’라는 것은 배가 출항하기 전에 닻을 갑판 위로 인양하는 작업으로 어떤 일의 시작을 알릴 때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다. 하지만 영화 마니아들은 1945년에 개봉된 프랭크 시나트라(Frank Sinatra) 주연의 영화 ‘닻…
이 득 환 교수(한경대학교 동물생명응용학부) 작년 말에 중국 우한지방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전 인류가 정치와 경제, 사회 모든 면에 있어서 어수선한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WHO에서는 팬데믹을 선언하여 긴장하고 있음을 매일 언론 매체를 통하여 듣고 있다. 언론 보도를 통해 우리나라의…
정 영 철 대표(㈜ 정피엔씨 연구소) 전 세계 축산업계가 코로나19 사태로 몸살을 앓고 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은 돼지를 도축하는 스미스필드사와 타이슨사의 도축가공 공장 직원들의 코로나19 감염자수가 늘어나면서 3~4개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자 출하가 지연되는 비육돈 가격이 폭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 시작하며 어떤 상황이나 사안에 대해 기억이 오래 남을 경우 우리는 ‘각인(刻印)되었다.’라고 표현한다. 머리 속에 새겨 넣은 것처럼 깊이 기억된다는 뜻인데 동물행동학에서도 각인(Imprinting)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잘 알려진 각인의 대표적인 예는…
허 정 민 교수( 충남대 동물자원과학부) 파이테이즈(Phytase; myo-inositol hexaphosphate phosphohydrolase, 미오-이노시톨 6인산염 인분해효소)는 식물체에 유기태로 존재하는 인을 분해하는 효소를 일컫는 것으로, 곡식·종자 등에 phytate-bound P 형태로…
오 인 환 명예교수( 건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축분 퇴비의 부숙도 검사의무에 대하여 축산생산자단체에서 요구한 3년간의 유예기간이 정부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1년간의 계도기간을 부여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아무튼 과잉규제라는 비난을 면하기는 어렵다. 차제에 퇴비 부숙도 검사의무를 통하…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축산과 기후변화 우리나라의 국가보고서에서 다루는 장내발효 배출원에 해당하는 축종은 젖소, 한우와 육우, 돼지, 닭, 염소(산양), 면양, 말, 사슴, 오리로 나눌 수 있다. 혐기적 소화 과정인 장내발효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메탄(CH4)이며 가축이 섭취한 사료가 소화되는…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가축과 생태계의 관계는 지역에 따라 그리고 관리 방법에 따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축산은 그 지역에 유용한 자원들을 이용한다. 소의 경우 곡물을 수확하고 남은 지푸라기나 주변부의 풀들을 이용하여 사육한다. 즉,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곡물 등)을…
정 영 철 대표(㈜ 정피엔씨 연구소) “Anyone can raise hogs. But it takes a near genius to make money doing it(아무나 돼지를 키울 수는 있다. 그러나 돼지를 키워서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은 천재적인 자질이 필요하다).” 북미 양돈시장의 한 애널리스트가 최근 몇 년간…
윤 요 한 교수(숙명여자대학교)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COVID-19)는 전 세계에 무서운 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다. 지난 3월 12일 뒤 늦게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Pandemic(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했다. 안그래도 코로나19에 따라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