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인 석 교수(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국내 축산업이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지속해서 발전할 수 있는 길이 어디에 있는지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필자는 미래 지속 가능한 축산업으로 발달하기 위해 무엇보다 산업과 직접 연계된 교육이 해법의 중심이라고 생각한다…
이 홍 구 교수(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낙농산업을 통해 생산되는 우유는 오랜 기간 인류와 함께하고 큰 기여를 했음은 여러 곳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기록에 따르면 성경에서는 기원전 3천년 이전에 기록된 성경에도 가나안(Canaan : 오늘날 팔레스타인지역)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 이라며 우…
이 득 환 교수(한경대학교 동물생명응용학부) 동식물의 우수 생명자원에 대한 증식과 보급은 육종이라는 단어로 산업에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육종기술을 통해 식물에서는 개량된 종자가 상품화되어 널리 유통되어진 것이 오래이며 가축에서도 소나 돼지의 정액이나 수정란 등의 형태로 전 세계적으로 시장…
허 정 민 교수(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아이러니(irony)하게도 대한민국의 인구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의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 현재 약 80억 명의 인구는 2050년에는 약 100억 명으로 증가할 것이란 통계자료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며, 증가한 인구는…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내가 그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 그는 다만 /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1연)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 그는 나에게로 와서 / 꽃이 되었다. (2연)]. 이 글은 김춘수 시인이 1952년 ‘시와 시론’에서 발표한 ‘꽃’의 1연과 2연이다. 어떤 대상의 이름을 부르기…
오 인 환 명예교수(건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정부의 퇴비 부숙도 시행을 앞두고 현장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하늘을 찌른다. 가축분뇨법 시행령에 따라 올 3월 25일부터 가축분 퇴비를 농경지에 살포할 경우 부숙도 기준 준수가 의무화 된다. 부숙이 덜 된 퇴비를 농경지에 살포할 경우 냄새가 나며 민원의 소…
장 인 석 교수(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최근 건강, 환경 및 동물복지를 중시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축산물의 소비 트렌드가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다. 축산물의 소비 트렌드는 다양한 내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모든 요인을 분석하여 예측하기는 쉽지 않지만, 미래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
정 영 철 대표(㈜정피엔씨연구소) 지난달 넷째주 돼지 평균가격이 지육 kg당 2천477원에 머물며 동기간 가격으로는 2004년 이후 15년만에 최저가격을 기록하는 등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수준의 돼지가격은 양돈을 비롯한 관련 산업계를 패닉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수요에 비해 돼지 출하두수와 수입 돼…
이 득 환 교수(한경대학교 동물생명응용학부) 2019년말 기준 우리나라 낙농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약 6천300농가, 40만두를 기르고 있다. 이중 착유우는 약 20만두로써 호당 평균 64두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사육동향을 살펴보면 사육두수와 사육농가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나 100…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환경문제는 한 사람 또는 한 농장의 문제라고만 할 수 없다. 그 사람 또는 그 농장이 포함된 사회와 그 외의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사회는 복잡하게 엮여 있는 구성원 및 집단, 그리고 그들의 (작은) 사회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적(보이며…
이 명 지 대표((주)안씨젠) 사이가 나쁜 관계, 해결이 잘 안 되는 갈등관계를 일컫는 단어로 ‘견묘지간(犬猫之間)’ 이 사용된다. 얼마전 축산현장을 찾았다가 양축농가와 환경부서, 시골 마을의 생산자와 외지에서 휴양을 위해 귀촌을 한 민원인의 ‘다툼’과 맞닥드리게 됐다. 축산냄새를 다루는 필자 입장…
김 동 균 이사장(前 상지대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정보의 홍수에 치이며 사는 현대인에게 자신의 현실과 직결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소식을 전하면 흔히 ‘그걸 내가 왜 알아야 하나?’를 연발한다. 불과 2세기 전만 해도 서울 인왕산에 호랑이가 살았고, 삼라만상의 거의 모든 현상이 신의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