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 경 선 교수(전북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우리나라의 유일한 가금 천연기념물인 연산오계가 멸실의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한 가문에서 오랜 기간 근친교배가 계속돼온 결과일 것이다. 임금에게도 진상됐던 천연기념물 265호 ‘연산오계’, 가금류 가운데 유일하게 천연기념물로 지정(1980년)된 연산오계가…
김 성 훈 대표(피그진코리아) 그 옛날에 발견된 수메르 점토판이나 로제타석에 요즘 젊은 것(?)들이 버릇이 없다고 적혀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조금 억울하긴 하지만, 항상 그러했듯이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배워야할 것이 많은 세상인지라 젊은 사람들이 버릇이 없게 보일 수밖에… 형만 한 아우가…
신 창 섭 대표(㈜버박코리아) 올해 10월부터 구제역(FMD)에 대한 특별 방역 기간이 시작되었다. 내년 2월까지 현장에서는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당장 옆 나라 중국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난리를 겪고 있다. 구제역은 ASF보다 훨씬 더 전염력이 강하다. 우리가 구제역을 철저히 예방할 수 있다면…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1. 프롤로그 최근 들어 가을이 성큼 다가온 느낌이다. 10여 년 전, 요즘처럼 선선한 바람이 부는 어느 날 UBC(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박사 후 연수과정(Post-Doc.)을 밟고 있을 때 겪었던 일이 떠오른다. UBC는 캐나다 브리…
김 동 균 이사장((전) 상지대 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모든 젖빨이 동물의 유즙은 태어난 어린 것을 살리기 위해 어미가 혈액을 변형시켜 만든 영양물질이다. 각종 영양소가 담긴 혈액이 유선상피세포로 들어간 이후의 변화는 실로 놀랍다. 색체부터 경계심을 유발하는 붉은색에서 자유롭고 평안함을…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우리나라는 지금 정부가 부동산 가격의 안정을 위해 여러 정책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의 부동산 가격(주로 아파트)을 안정화하기 위해 2017년 6월 19일에 발표한 대책을 시작으로 해서 2018년 9월 13일의에 대책까지 총 8건이 발표되었다. 한정된 자산(공급)에 대한 요구(…
윤 여 임 대표(조란목장) 지인 몇 사람과 식품안전 이야기를 나누다 ‘무항생제 우유’ 얘기가 나왔다. 당연히 무항생제 우유라면 항생제 근처엔 가본 적 없는 젖소에서 생산 된 우유일 것이라고 했다. 그럼 그런 소는 아프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며 아픈 소에게 항생제 투여를 안 하는 것이 오히려 동물복지…
[축산신문 기자] 류경선 교수(전북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소비자 안전과 식품의 품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계란껍질(난각)에 산란일자 표시기준을 신설해 내년 2월부터 이러한 규정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대규모 농가에서 난각에 산란후 36시간이내 산란일자 표…
[축산신문 기자] 김 성 훈 대표(피그진코리아) #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한돈농가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산비를 낮추고 판매단가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생산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이 있으나 단일 항목으로 산자수만큼 생산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없을 것이다. 산자수가 1두 증가하면 약…
[축산신문 기자] 신 창 섭 대표(㈜버박코리아) 중국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이 진정되지 않고 있다. 8월 1일부터 시작된 발생보고는 10일 기준으로 10개성, 15개 농장, 4만두 살처분 등으로 이어지는 중이다. 국내에서도 축산가공품에서 ASF가 확인된 사례가 4건이나 된다. 그야말로 한국 양돈의…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인류가 출현한 그 시점부터 역사를 함께 해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동물로부터 가죽이나 식량을 얻기 위해 야생동물을 가축화(家畜化)했으며, 농사를 짓기 위한 역용(力用)으로 가축을 이용하기도 했다. 이후 점…
김 동 균 이사장((전) 상지대 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기승을 부리던 무더위도 기세가 꺾이고 아침저녁 서늘한 기운을 느끼면서 가을의 정취를 즐길 무렵 난 데 없는 폭풍우가 전국을 몰아치면서 논밭과 집 도로를 할퀴었다. 집중호우 지점에서는 걷기조차 어려울 만큼 비바람이 몰아쳐 속옷까지 흠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