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 축산이 축산업의 미래 성장으로 이끌 핵심으로 보고, 스마트 축산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농식품부는 축산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노동력 부족, 생산비 상승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그 해결책으로 스마트 축산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국민의 육류 소비량 증가 등에 힘입어 축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하지만 가축질병, 냄새 등 사회, 환경에 대한 책임은 높아지고 있고, 축산물 생산비의 40~60%를 차지하는 사료값의 지속적인 상승이 농가 경영에 큰 부담이다. 또,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축산업도 중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축산업의 혁신을 통해 현재의 어려움을 타파해야 하는 만큼 이를 위해서는 첨단 기술을 적용한 생산 단계서부터 변화가 절실하다고 판단했다. 축산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추진하려면 기존에 설치된 축사 자동화 장비에 AI(인공지능)를 결합한 2세대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것.
이에 농식품부는 올해 ‘2025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축산농가에 생산비 절감, 사양관리 최적화, 냄새·방역의 과학적 관리 등 생산성을 제고키 위해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산 장비와 해당 장비 운영에 관한 솔루션(스마트축산 패키지)을 보급·지원 중이다.
농식품부는 이 사업을 통해 장기적으로 현재 전체 축산 전업농가의 약 20여%인 스마트축산 보급률을 오는 2027년 까지 40%대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도입 효과를 높이기 위한 종합컨설팅, 청년서포터즈 운영,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마련 등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축산 보급 확대로 농식품부가 가장 기대하고 있는 효과는 노동력·생산비 절감이다. 이를 증명하듯 현재까지 스마트 축산을 적용시킨 농가들을 조사한 결과, 축사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 온·습도와 암모니아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환풍기·쿨링패드 등 축사환경 제어장치를 활용할 수 있어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 확인됐다. 또한 축사환경의 과학적·정밀한 관리가 가능해져 전기·냉난방 등의 투입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비 절감에도 일조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안용덕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스마트 축산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향상, 특히 냄새와 가축 질병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며 “우리 축산업의 경쟁력과 지속 가능성을 스마트 축산 보급을 통해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물론 스마트축산을 도입하려면 일선농가에서 비용에 부담이 가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의 ICT장비 보급사업, 컨설팅 지원 사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장기적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농가를 경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