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흐림동두천 21.7℃
  • 흐림강릉 21.1℃
  • 서울 22.6℃
  • 대전 22.7℃
  • 박무대구 23.4℃
  • 박무울산 23.2℃
  • 광주 22.2℃
  • 부산 23.5℃
  • 흐림고창 22.1℃
  • 흐림제주 25.1℃
  • 흐림강화 22.3℃
  • 흐림보은 22.4℃
  • 구름많음금산 22.7℃
  • 흐림강진군 22.6℃
  • 흐림경주시 22.4℃
  • 흐림거제 22.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연재

K-축산, 국민속으로(28) / 식물성 아이스크림, 말장난 하는 대체식품 표기 문제

  • 등록 2024.05.22 10:56:22

[축산신문]

최윤재 명예교수(서울대학교)

축산바로알리기연구회장

 

기업 잇속 챙겨주고, 소비자 눈가리기식 표기제
축산업계 심각성 인식…적극적 공동대응 나서야

 

따뜻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번은 언론에서 ‘따뜻한 아이스 아메리카노’라는 단어를 듣고 당황한 적이 있었다. 무슨 뜻이지 싶었는데 요즘 유행하는 용어로 어불성설, 소위 말이 안 되는 상황을 꼬집는 용어라 하니 이해가 되었다. 
최근 한 대기업에서 곧 식물성 아이스크림을 출시한다는 뉴스를 듣고는 비슷한 기분을 느꼈다. 본래 아이스크림의 정의는 원유, 유가공품을 주원료로 다른 식품 또는 첨가물 등을 넣어 가공한 동결제품을 의미한다. 요컨대 ‘식물성’과 ‘아이스크림’이라는 단어는 성립 불가능한 상호 모순적인 조합이라는 것이다. 
아이스크림과 같이 축산물을 1차 원재료로 만든 가공품에 핵심 원재료가 빠졌음에도 해당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고기가 빠진 불고기, 에그가 빠진 스크램블에그는 무슨 의미인가.  

 

식물성 대체식품 산업의 무서운 확장
혼란만 가중시키는 표시제 문제

식물성 아이스크림이라는 말도 안 되는 용어가 가능한 이유는 지난해 2023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발표한 ‘대체식품의 표시 가이드라인’에 근거하고 있다. 해당 발표는 소비자가 “오인·혼동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이유로 들며 “요리명 등 식품의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명칭을 제품명으로 사용”하게끔 허가했다. 
그러나 대중들에게 친숙한 식품 또는 가공품의 명칭을 원재료를 마음대로 바꾸어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은 소비자를 더 혼란스럽게 할 뿐이다. 불고기를 사면서 고기가 들어있지 않다는 생각을 누가 할 수 있을 것인가. 결국 식물성 아이스크림이라는 명칭은 소비자와 업계를 혼란에 빠뜨리며 이를 이용하려는 기업 잇속을 챙겨주는 눈 가리기 정책에 다름 아니다. 
대체식품 시장 규모가 갈수록 확대되어 가는 상황을 고려하면 표시제 혼란 문제는 결코 간과하기 어렵다. 특히 배양육보다 식물성 기반의 대체식품 시장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보고서마다 예상치 차이는 약간씩 있지만 최근 몇 년 국내 식물성 대체식품 시장은 매년 15~20%씩 성장해왔고 이러한 성장세는 채식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와 맞물려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대체식품 시장이 식물성 대체식품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렇기에 더 큰 혼란이 생기기 전에 하루빨리 표시제 문제를 시정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축산업계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것이다. 

 

축산업계의 적극적인 개입 필요
식약처는 표시제의 기본 원칙 지켜야

지금 식약처의 정책은 ‘식물성’이라는 용어만 앞에 붙이면 어떤 제품명이든 사용할 수 있게 여지를 두고 있다. 고기, 우유, 계란과 같은 1차 원재료명만 사용할 수 없고, 그 외의 동물성 원재료명·요리명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한 것이다. 
앞서 EU 사법재판소는 기업들이 식물성 대체식품을 유제품과 비교하는 마케팅을 금지하는 규정을 공표한 바 있다. ‘비건 요거트’, ‘아몬드 우유’처럼 요거트와 우유와 같은 축산물 고유 용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제재한 것이다. 혹여나 제품 포장지에서 우유나 요거트, 치즈를 떠올리게 해 소비자를 혼동시키지 말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낙농 제품에만 한정한 EU 정책에서 더 나아가 프랑스의 경우는 무분별하게 축산물 고유 제품명에 식물성 이름을 붙이는 범위를 포괄적으로 제시했다. 프랑스는 2022년부터 스테이크, 햄과 같이 일반적으로 고기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제품명에 식물성, 비건이라는 용어를 붙이지 않도록 목록을 만들어 법제화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최근에는 이런 법안에 반대하는 비건 단체 기업들의 개입으로 법안 시행이 중지되거나 여러 논란들이 생겨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를 둘러싼 논의가 시작도 안 한 상태이다. 지난해 식약처 발표 이후 사실상 원안을 그대로 수용하는 분위기이다. 
또 하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축산물을 원재료 삼은 각 제품들은 축산업계가 오랜기간 공헌해 온 역사적 산물이라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식물성이라는 단어를 마음대로 붙일 수 있게 하는 지금의 정책은 축산업이 해온 오랜 역할을 무시한 처사라고도 생각된다. 
이런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면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축산업의 역할을 무시한 표시제 문제의 심각성을 축산업계가 하루빨리 인지하고 함께 목소리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 식약처 또한 소비자가 오인·혼동하지 않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기관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푸드테크, 대체식품 산업을 진흥시킨다는 이유로 원칙을 무시하고, 편법을 허용하도록 해서도 안 될 것이다. 

 

참고자료
•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식물성 대체식품 산업 및 제조 이해’ (2023년 12월 발표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2023년 7월 발표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의뢰,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국내외 대체식품 시장과 주요 기업들의 대응 보고서’
• “Top French court suspends ban on using word ‘steak’ on plant-based foods” (the Guardian, 2024년 4월 10일자)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