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7 (일)

  • 흐림동두천 25.6℃
  • 흐림강릉 29.1℃
  • 서울 26.0℃
  • 흐림대전 26.3℃
  • 흐림대구 31.1℃
  • 흐림울산 29.0℃
  • 흐림광주 27.3℃
  • 흐림부산 25.7℃
  • 흐림고창 28.1℃
  • 구름많음제주 31.8℃
  • 흐림강화 24.1℃
  • 흐림보은 25.1℃
  • 흐림금산 28.0℃
  • 구름많음강진군 27.1℃
  • 흐림경주시 31.2℃
  • 흐림거제 25.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수의

<포커스>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세계가 물밑 개발 경쟁 한창…상용화는 ‘산 넘어 산’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바이러스 복잡해 ‘기전·항원' 불명확…백신 평가법도 미확립

세계 선도 경쟁 한창…국내 기관·업체·대학 생백신 개발 중
“백신이 대안…공동연구·실험실 확대 등 제반 여건 마련돼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이 또 다시 비상이다.
지난 9월 19·20일과 28일 각각 강원 춘천, 경기 김포·파주 양돈장에서 ASF 발생이 확인됐다.
올 들어서만 벌써 6개 양돈장이다. 우리나라 전체적으로는 2019년 9월 첫 발생 이후 27개 양돈장으로 늘어났다.
방역당국과 양돈장은 이동제한, 집중소독 등 ASF 확산 방지에 총력 방역태세다.
하지만 백신은 투입되지 않는다. 아니 투입할 수 없다. 
2011년부터 백신이 쓰이고 있는 구제역과는 다른 행보다. 고병원성AI의 경우 백신이 개발돼 있지만, 방역정책 상 백신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제대로 된 ASF 백신이 나와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베트남에서는 지난 6월 자국내 ASF 백신 유통을 허가한 바 있다. 베트남과 미국 과학자들이 공동개발한 ASF 백신이다.
하지만 지난 8월 폐사 등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백신 접종을 중단했다. 이렇게 ASF 백신은 축산현장에서 한발 물러났다.
그렇다면 왜 ASF 백신 개발이 늦어지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우선 ASF 바이러스 특성에 기인한다고 설명한다. 
유전체 크기(160~190kb), 단백질 수(167개 이상) 등 유전적·생물학적으로 ASF 바이러스가 복잡하다보니, 이에 대한 방어기전·방어항원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더불어 ASF 바이러스를 배양할 마땅할 세포주(cell line)를 찾지 못했다고 토로한다.
바이러스 중화항체 측정법, 백신 안전성·유효성 평가법 등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것도 ASF 백신 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개발 기관·업체 입장에서는 목적동물(돼지) 접종실험 외에는 대안이 없는 셈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 실험을 진행할 연구시설(BL3)이 극히 제한적이다.
그렇다고 해당 기관, 업체, 대학 등이 ASF 백신 개발에 마냥 뒷짐만 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전세계적으로 ASF 백신 개발에 한창이다.
영국, 미국, 스페인, 중국 등에서는 이미 재조합 순화 생백신 후보주를 개발해 놨다.
우리나라에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국내 분리 ASF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세포적용 순화주를 이용해 ASF 생백신 개발에 나섰다.
검역본부는 업체, 기관 등과 공동연구를 적극 추진하는 것은 물론, ASF 백신 전문가협의체를 운영,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백신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해결에 힘쓸 계획이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미국 백신 후보주를 활용, 야생멧돼지용 미끼백신 개발에 착수했다.
국내 동물약품 업체인 케어사이드는 스페인 CSIC와 공동으로 ASF 약독화 생백신을 개발 중이다. CSIC는 백신 후보주 개발 등을, 케어사이드는 평가, 상용화, 제조 등을 맡는 형태다. 
이 백신 후보주는 실험결과, 안전성·유효성이 우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여전히 상용화까지는 시험백신 생산, 야외 임상 등 많은 절차가 남아있다.
코미팜은 미국 농무부로터 백신 후보주를 도입해 야생멧돼지용·사육돼지용 ASF 생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이밖에 여러 대학들이 바이러스 병원성 기전, 생백신 후보주, 배양용 세포주 선발, 서브유닛 백신 등 다양한 측면에서 ASF 백신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관련 업체·대학에서는 “결국, 백신이 개발될 때 ASF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맥락이다. ASF 백신은 시장성도 크다. 민·관 공동연구, 국가보유 BL3 실험실 개방, 평가·시설 가이드라인 구축 등 더욱 적극적으로 백신 개발을 선도할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