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축산농가의 가축분뇨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친환경 자연순환농법의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가축분뇨공동자원화시설이 속속 설치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8일에는 횡성군 동횡성농협이 우천면 양적리에 이 시설 준공식을 개최, 지역 축산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하루 129톤 분뇨 퇴액비화 처리…연간 50만포 이상 유기질비료 생산 (주)에코바이론 ‘카셈시스템’ 도입…바이오트리클링탈취 공법 첫 적용 화학적 응집처리 불필요…액비 악취 최소화·비용도 크게 줄여 이날 준공식에는 한규호 횡성군수, 김태원 동횡성농협조합장, 고명재 횡성축협조합장을 비롯해, 관계공무원, 군의원, 축산농가, 지역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 가축분뇨자원시설에 대한 기대를 표했다. 이 시설은 국비 7억5천만원, 도비 1억천만원, 군비 3억5천만원, 융자 8억7천500만원 자부담 13억원 등 총사업비 약 34억원을 투입 작년 8월 공사를 시작해 12월 시설을 완공한 것으로 시설 규모는 대지 9천995㎡중 3천96㎡에 액비저장조 2천400t의 시설을 갖추고 하루 129톤(우분 50톤, 돈분뇨50톤)의 분뇨를 퇴액비화 처리할 수 있다. 동횡성농협은 이에 따라 내년부터 연간 50만포 이상의 유기질비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산된 퇴비는 경종농가에 공급되어 농작물의 비료로 사용되고, 액비는 농경지에 살포함으로써 화학비료의 사용을 줄이고 토양오염을 방지하여 축산농가와 경종농가의 상호연계로 친환경 자연순환농업을 실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동횡성농협의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시설을 2011년까지 70개소 설치할 계획으로 있으며 이곳 동횡성농협의 가축분뇨공동자원화 시설은 다섯번째 시설이다. 그런데 여기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주)에코바이론(대표 이종국)의 카셈(CASEM)시스템으로 바이오트리클링탈취 공법이 최초로 적용됐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악취나 시설의 성능, 운영의 효율성에서 최적의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 지난 2월 농림수산식품부가 주관한 가축분뇨 자원화 지자체 평가에서 관련 시설로 인한 가축분뇨처리의 효율성을 인정받아 2009년 우수지자체로 선정되어 인센티브 5억원을 지원받기도 했다. 횡성군청 장신상 축산과장은 “이번 공동자원화시설 준공을 계기로 횡성군내 축산농가는 축분을 처리하고 경종농가는 퇴·액비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자연순환형 농업시스템이 구축 되었다.”고 말했다. (주)에코바이론 관계자는 횡성군은 지역특성상 한우특화지역으로 우분은 반입하여 퇴비조로 투입하고 돈분뇨는 화학적 응집처리를 하지 않고 원심분리기(Centrifugal)에 의해 분리하여 고형분은 유기질 퇴비로 만들고 뇨는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악취 없는 액비(Activation Slury)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서 액비는 다시 저농도와 고농도로 구분되는 시스템이라고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번에 도입된 카셈(CASEM)시스템 바이오트리클링탈취 공법은 악취없는 발효 액비를 악취저감재료로 사용 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 150m내 농가 17호가 있어 악취 민원 해소와 생산성에 염두를 두고 시공하여 공동자원화 사업의 악취관련 민원에 모범을 보일 것으로 보일 것이라는 것이다. |
공정도는 액비는 집수조→고액원심분리→탈질조(고형분은 퇴비 발효장)→탈질 및 질화조→액비저장조→액비살포 과정으로 처리하고, 고형분은 집수조→고액원심분리→통풍교반시설→후숙발효→퇴비포장→판매 공정으로, 액비와 퇴비 공동형 시스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