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기고>돼지도체 경락가격에서 나타난 최저 등지방두께

유병현 박사(전 다비육종 고문)

유럽과 북미에서 소위 고능력모돈이 도입되면서 돼지도체의 등지방두께가 얇아지고 등급판정에서 1등급 이상에 들지 못하는 도체의 비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축산신문 2023.1.18.).

그럼 과연 소비자가 원하는 도체의 등지방두께는 얼마나 되며 현재 출하되고 있는 비육돈의 등지방 두께와 얼마나 다른지 궁금해진다.

 

# 등지방 도체중 가격영향

선 등지방두께와 도체중는 둘 다 도체 ㎏당 가격에 영향을 주는데, 등지방두께가 도체중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므로, 등지방두께를 도체중 차이에 대해  보정한 후에 비교해야 한다.

국내 R조합 도축장에서 2020년 경매에 상장한 1+, 1 및 2등급 5만4천900여두의 도체중 평균은 암퇘지 89.5㎏, 거세돈 89.3㎏으로 거의 차이가 없으며, 등지방두께 평균은 암퇘지 20.9㎜, 거세돈 23.0 ㎜으로 암퇘지가 거세돈보다 2.1㎜ 얇았다.

이 자료 의 등지방두께를 성별 평균도체중으로 보정한 후 1㎜ 간격으로 끊어서 평균 경락가격을 계산한 결과는 <그림1>과 같다.

 

# 암 25㎜, 수 24㎜ ‘최고’

이 그림을 보면 암퇘지는 등지방두께가 25㎜일 때, 그리고 거세돈은 등지방두께가 24㎜일 때 도체 ㎏당 경락가격이 가장 높았다.

이 그림에 평균 등지 방두께를 ‘채우기 없는 표식’으로 나타내 평균과 경락가격이 최대가 되는 수준을 쉽게 비교해 볼 수 있 는데, 2020년에 암퇘지 평균은 최적 수준보다 약 4 ㎜ 낮고 거세돈 평균은 최적 수준보다 1㎜ 낮았다.

대신 경락가격과 등지방두께의 2차함수 관계식에서 정확히 계산한 최적 수준은 암퇘지 25.8㎜, 거세돈 25.0㎜이다.

그러므로 2020년도 평균은 최적 수준보다 암퇘지에서 4.9㎜, 거세돈에서 2.0㎜ 낮았다.

이 계산에서는 경매장 전광판의 도체 등급이 경락가격에 미친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다 (분석모델에 도체등급을 포함시키면 최적수준은 암퇘지 27.6㎜, 거세돈 27.0㎜로 더 높아진다).

 

# 실제 감소폭 더 커

R조합 도축장에서 2022년도에 수집한 약 90만두의 도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체중 평균은 암퇘지 88.7㎏, 거세돈 88.5㎏이며, 등지방두께 평균은 암퇘지 20.2㎜, 거세돈 22.1㎜이었다.

2020년도 자료와 비교했을 때, 2022년 암퇘지의 도체중은 0.7㎏ 감소하고 등지방두께는 0.7㎜ 감소했다.

도체중이 1㎏ 감소하면 암퇘지 등지방 두께가 약 0.34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도체중 0.7㎏ 감소로 인한 등지방두께의 감소는 0.24㎜로 예상되나 실제는 0.7㎜ 감소한 것이다.

거세돈의 경우도 도체중이 0.7㎏ 감소했으나 등지방두께는 0.9㎜ 감소하여 실제 등지방두께의 감소가 예상보다 훨씬 더 크다.

즉, 도체중이 1㎏ 감소하면 거세돈 등지방두께가 약 0.31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도체중 0.7㎏ 감소로 인한 등지방 두께의 감소는 0.22㎜로 예상되나 실제는 0.9㎜ 감소한 것이다.

 

# 더 두꺼운 등지방 원해

그러므로, 도체중 차이를 보정하면, 2022년 도체는 2020년 도체에 비하여 등지방 두께가 암퇘지와 거세돈에서 각각 0.46㎜와 0.6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22년도 평균 등지방두께와 최적 수준간의 차이는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도체 등지방두께의 연도별 변화를 보면 유의미한 추세를 나타내긴 하지만 양돈농가가 생산한 비육돈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지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한 결과가 아니다.

간접적으로나마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한 최적 등지방 두께는 그 동안 생산해온 비육돈의 등지방 두께보다 두꺼우며 이 차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즉, 양돈농가는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한 도체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으며 최적 등지방 두께에 접근하기는 해가 갈수록 더 어려워지고 있다.

 

# 수입의존 종돈개량 한계

한돈의 도체 등지방두께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는 주로 종돈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 종돈산업 의 구조때문으로 보인다.

유럽과 북미의 육종회사는 공통적으로 도체의 살코기 함량을 늘리고 비육돈 사료요구율을 낮추기 위한 선발을 지속하기 때문에 등지방두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이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한 예로 유럽 C사는 모계의 생체 등지방두께가 연간 0.3~0.4㎜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회사에서 종돈을 수입하여 등지방 두께를 국내 최적수준으로 높이는 작업은 해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그 기간 생산하는 비육돈은 만성적으로 등지방 두께가 낮아 농가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

유럽과 북미에서 현지 양돈산업 환경과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개량한 종돈을 수입해서 소비자의 선호가 다른 우리 시장에 맞추려고 노력하는 우리 종돈업계의 비효율성은 국가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