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논단>종돈개량과 사료 이용성

  • 등록 2018.01.19 14:02:06


김성훈  대표(피그진코리아)


우리는 가축을 사육하는 것이 아니라 고기를 생산하고 있다. 돼지나 소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농장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산비를 낮추고 돼지고기의 판매가를 높여야 한다.

종돈 개량의 목표는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농장이 살아남게 도와주는 것이다. 즉, 생산비를 낮추고 판매가를 높이는 것이 종돈개량의 목표이다. 판매가는 시장의 공급과 수요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소비자(우리 이웃)가 원하는 돼지고기를 생산해서 부가가치를 높이거나 균일도를 개량해 출하할 때 좋은 등급으로 이익을 받는 등, 종돈을 개량해 판매가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생산비에 영향을 미치는 산자수나 일당증체량, 사료효율도 종돈을 개량해 생산비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동안 생산비를 낮추기 위한 종돈개량에 있어서 산자수가 가장 핵심적인 목표로 간주되어 왔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가 가지고 있는 종돈의 산자수가 양돈 선진국의 산자수에 비해 많은 차이가 있어서 산자수의 개량이 시급한 과제였으며 GSP나 돼지개량네트워크사업을 통해서 많이 개량되었다. GGP농장에서 개량된 산자수가 일반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농장에 나타나기까지 유전적인 시차(Genetic Lag)가 3-5년 걸리지만 최근에는 일반 농장에서도 산자수가 상당히 높아졌다. 일단 산자수가 우수한 종돈을 수입해 급한 불은 껐지만, 향상된 산자수를 우리나라에 맞게 유지·개량하고 생산된 자돈을 건강하게 잘 키우는 것이 숙제로 남아 있다.

생산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중요한 형질이 사료효율이다. 돼지의 경우 생산비의 60% 이상을 사료비가 차지하기 때문에 이 사료효율을 10%만 개량해도 생산비가 6% 이상 감소하므로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질이다. 더구나 사료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사료효율을 개량하는 것은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다.

사료효율은 증체량을 먹은 사료로 나누어서 구하고, 동일한 개념이지만 사료요구율은 먹은 사료를 증체량으로 나누어 구한다. 모두가 증체량과 연동되어 변하게 되어 있다.

사료효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을 정하고 돼지의 체중이 증가하는 것과 섭취한 사료의 무게를 측정해야만 한다. 체중은 시작할 때와 끝날 때 2번만 측정하면 되지만 섭취하는 사료의 무게는 개체별로 먹은 사료량을 일일이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사료효율을 측정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돈방당 12두를 수용해 각 개체의 사료섭취량을 측정하는 기계가 도입되어 개체별로 사료섭취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사료효율 개량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그 동안에는 일당증체량이 높아지면 사료효율도 같이 좋아지기 때문에 측정하기 어려운 사료효율을 직접 개량하는 것보다는 일당증체량을 개량하면서 부수적으로 사료효율이 개선되는 간접개량에 만족하기도 했었지만 이제는 사료섭취량측정기를 통해서 사료효율을 직접 개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사료효율이 일당증체량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로 사료의 이용성을 대변할 수 있는 형질인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돼지가 먹은 사료는 유지와 생산에 쓰여 진다. 자신의 체력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생산과 단백질과 지방의 증가로 체중이 늘어나는데 사용된다. 적절하게 유지와 생산에 필요한 사료보다 더 많은 사료를 섭취하는 경우 사료이용성은 현저하게 나빠지게 된다. 이렇게 필요한 사료보다 더 많이 섭취한 사료량을 사료섭취잔량(Residual Feed Intake)이라하고 이것을 사료 이용성을 대표하는 측정치로 개량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다만, 유지와 생산에 필요한 적절한 사료량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이것의 대안으로 일일사료섭취량(Daily Feed Intake)을 사료이용성에 적용하기도 한다. 일일사료섭취량은 섭취한 사료 중 일정부분은 유지와 생산에 사용되고 대부분의 돼지가 비슷하다는 전제 조건을 가지고 있다. 개체별로 사료섭취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사료효율, 아니 사료이용성을 개량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무엇을 사용하던 생산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돼지의 개체별 사료섭취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료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사료허실이다. 돈방 바닥이나 피트에 떨어져서 낭비되거나 급이기 밑에 끼어서 버리는 사료가 5~10%를 차지한다는 보고도 있다. 우선 우리가 농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다음단계로 사료이용성이 우수한 종돈을 사용할 수 있다면 생산비를 줄여서 농장이 살아남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