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 맑음동두천 21.3℃
  • 맑음강릉 28.1℃
  • 맑음서울 22.4℃
  • 맑음대전 23.9℃
  • 맑음대구 26.7℃
  • 맑음울산 24.4℃
  • 맑음광주 24.7℃
  • 맑음부산 20.2℃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1.3℃
  • 맑음강화 18.6℃
  • 맑음보은 24.0℃
  • 맑음금산 23.3℃
  • 맑음강진군 21.8℃
  • 맑음경주시 25.5℃
  • 맑음거제 20.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연재

축산은 ‘국민행복 시대’ 자양분

■새정부 출범 계기로 본 축산,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축산신문 장지헌 기자]

 

>>프롤로그

박근혜 정부가 25일 출범했다.
국정비전은 ‘국민이 행복한 희망의 새시대’다. 우리는 새 정부가 제시한 이 같은 국정비전이 반드시 실현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아울러 새정부의 이 비전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축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바로 서야 함을 강조한다. 국민 식생활에서나 국민 경제에 있어서 축산은 결코 무시될 수 없는 산업으로 일치감치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이같이 축산이 존재하지 않으면 안되는 분명한 이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축산의 가치를 애써 폄하하거나, 축산의 부수적인 것을 문제 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가축이 분뇨를 발생함으로서 환경을 오염시킨다며 축산을 규제하는 경우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마치 자동차 배기가스가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자동차 산업을 규제하는 것과 같다. 그럼에도 자동차 산업은 문제삼지 않으면서도 축산을 문제 삼는다. 또 축산은 국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산업임에도 마치 축산식품이 건강에 해를 끼치는 식품인 것처럼 호도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렇듯 축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건강한 축산식품을 건강에 해로운 식품으로 호도하는 분위기 속에서는 결코 온전한 ‘국민이 행복한 희망의 새시다’를 열 수 없다. 우리 일상에서 자동차가 없으면 불편할 뿐이지만 축산식량이 없으면 인간은 건강한 삶을 살 수 없다. 혹자는 고기가 없으면 채소를 먹으면 된다고 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것은 밥이 없으면 라면을 먹으면 된다는 말과 다름없다.
원시 시대에도 고기가 주식이었듯 첨단 문명시대도 고기가 주식이다. 이 주식이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공급돼야 국민이 행복한 희망의 새시다가 열릴 수 있다.
우리가 새정부 출범과 함께 우리 축산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또 축종별 산업별 현황과 과제와 대책을 시리즈로 망라해보는 이유다.

 

 10년 새 밥상비중 변화
쌀 + 김치 < 축산물
‘축산물은 식량’입증

 

밥상의 행복, 밥심 아닌 축산물에 있어
우리 밥상을 밥과 김치, 축산물 세 종류로 단순화시켜보자. 이들 식품의 지난 2012년도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쌀 69.8kg, 김치 28.6kg, 축산물 124.3kg이었다. 이 세 가지 식품 중 각각의 비중을 보면 쌀 31.3%, 김치 12.8%, 축산물 55.9%다. 축산물이 쌀과 김치를 합한 것보다 크다.
10여년 전인 2000년의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어땠을까. 쌀 93.6kg, 김치 36.3kg, 축산물 101.2kg이었다. 이를 다시 각각의 비중으로 나타내보면 쌀 40.5%, 김치 15.7%, 축산물 43.8%다. 쌀과 김치를 합한 것과 축산물의 비중이 10여년 후의 경우와 반대 상황임을 볼 수 있다.
즉 불과 10여년 사이에 우리 밥상에서 차지하는 축산물의 비중이 커졌음을 확연히 보여준다. ‘축산물이 곧 식량’이라는 말이 결코 구호에 그친 말이 아니란 이야기다.
따라서 밥상의 행복은 축산물을 얼마나 안전하게 생산하고, 또 얼마나 안정되게 공급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식량 안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상황을 감안할 때 국내 축산물 생산 유통 기반 구축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말해주고 있다.
축산의 중요성이 해마다 증대된 것은 축산 생산액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축산 생산액은 지난 2003년 8조8천696억원으로 미곡 생산액 8조8천359억원을 넘어선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지난 2010년에는 17조원을 넘어 쌀 생산액의 2배 수준에 이르렀다. 이로써 축산이 농림업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넘었다. 농림업 10대 생산품목중 양돈, 한육우, 닭고기, 우유, 계란, 오리 순으로 2~7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도 우리 식량산업에서 축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어렴지 않게 가늠할 수 있다.

 

축산업은 국민경제 원동력

축산관련 총 생산유발액 110조2천여억
고용 증진·부가가치 창출 효과도 톡톡

축산으로 인한 국민의 행복은 밥상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축산이 축산업 자체의 경제적인 효과는 물론 축산과 관련한 연관 산업 효과와 고용 효과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말 때마침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2010년의 축산업 생산유발액은 축산 자체 생산액 16조7천290억원(통계청자료, 농식품부 통계는 17조4714억원임)에다 타 산업 생산 유발액 20조6천150억원을 합치면 총 생산유발액은 37조3천440억원에 달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축산업에 육류와 육가공품, 낙농품, 사료까지 포함할 경우 자체 생산액은 46조2천630억원이며 여기다 타 산업 생산 유발액 63조9천390억원을 합치면 총 생산유발액은 110조2천20억원이나 된다는 분석이다.
또 축산업과 축산연관산업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에서도 2010년 축산업 부가가치유발액이 10조7천620억원, 축산연관산업 부가가치 유발액은 9조3천770억원으로 나타나 주목되고 있다.
그러면 이로 인한 취업 및 고용 효과는 어떨까. 역시 농경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축산업과 축산연관 산업의 취업 및 고용 유발계수는 2010년 기준 10억원의 생산 증가에 따른 취업자 유발계수는 낙농 22.4명, 육우 23.5명, 양돈 23.3명, 가금 21.9명, 기타축산 18.1명으로 분석됐다. 이는 농림수산식품 39.9명, 음식점 및 숙박 30.9명 다음으로 높은 것이다. 또 고용유발효과는 낙농 4.9명, 육우 5.5명, 양돈 5.8명, 가금 5.4명, 사료 5.0명으로 나타났다.
2010년 기준 축산업과 연관산업의 취업자수는 29만1천명, 고용자수는 7만명으로 모두 36만1천명이다.

 

역경 딛고 발전 거듭

UR 등 위기 겪으며 성장발판 마련 
축산물 품질·안전 세계적 경쟁력

축산물이 밥상의 행복을 선사하고 축산업이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이처럼 높아지기까지 그동안 축산인들의 노력은 그야말로 오늘날 국민 행복의 밑거름이었다.
우리나라 축산업 발전사를 보자. 1980년대 이전 우리 축산업은 가축 증식에 초점에 맞춰져 있었다. 우리 국민 소득 증가에 따른 가축 사육 기반 확충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러한 노력은 1980년대 들어 수급 불균형에 따른 호불황을 거치면서 많은 축산인들이 축산을 포기해야 했다. 그런 와중에서 살아남은 축산인이 잠시 호황을 누리는 듯 했지만 1990년대 들어서는 우루과이협상 타결에 이은 WTO체제 출범으로 벼랑 끝으로 내몰린다. 또 많은 축산인들이 축산을 포기하는 가운데 살아남은 농가는 규모를 키우며 고품질 차별화에 나서면서 새로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다. 브랜드화 시대를 예고한 것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새로운 위기가 찾아왔다.
FMD발생에 이은 돼지콜레라 발생, 닭 고병원성인플루엔자 발생에다 미국발 광우병 파동까지 겹치면서 그동안 고품질 축산물 생산에 몰두했던 축산인들은 위생과 안전성에 큰 비중을 두는 시스템을 요구받았던 것이다. 우리 축산인들은 이 같은 시대변화를 거부하지 않고 HACCP 인증 제도, 친환경축산물 인증제 등 축산물 안전 자율관리시스템에 재빨리 적응했다.
그럼에도 축산인에게 시련은 끝이 없었다. 품질 차별화, 안전경쟁력 강화 등 자구노력에도 불구하고 FTA와 국제곡물가 파동 등이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2012년에 이은 2013년 계속되는 축산물 가격 폭락은 우리 축산인들의 더없이 큰 마음 고생을 안겨주고 있다.
이렇듯 우리 축산인들은 지난 30년 여년 동안 많은 고비를 겪으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축산인들의 그동안 고생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 우리 국민들의 안정적인 축산식량 생산 기반을 구축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축산물의 품질과 안전 수준을 세계 수준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세계 수준보다 더 높은 안전 수준의 축산물을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 축산인들의 노력이 국민 행복시대의 밑거름이 됐고, 앞으로는 희망의 새시대를 여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다할 것으로 기대된다.

 

희망의 새시대를 위하여
‘국민이 행복한 희망의 새시대’를 위한 축산인들의 새정부에 대한 바람은 무엇보다 축산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그 가치에 걸맞은 조직과 예산으로 축산업의 수준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는데 정부로서 역할을 해달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새정부 조직 개편에서 중앙부처에 축산이라는 이름을 올린 것은 바람직하나 식품 안전업무를 식약처로 이관한 것은 적절치 못했다는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축산식품 안전 관리의 핵심은 생산 분야에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를 바로 잡을 기회가 반드시 있기를 기원한다.
아울러 우리 축산인들도 새로운 마인드로 축산에 임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정부 의존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무한경쟁시대에 당당하게 설 수 있는 경쟁력을 스스로 갖춰야겠다는 자구인식이 요구된다.
그런 인식의 바탕 위에서 안전한 축산, 아름다운 축산, 친환경 축산을 통해 소비자와 이웃으로부터 환영받는 축산이 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