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사료가치·경제성 모두 잡아…고곡가 극복 대안
국내 조사료 생산량 증진을 위한 극동 6호, 총체 벼, 사료용 옥수수, 케나프와 같은 다수확 조사료 인기와 함께 축산농가의 고급육 생산과 경영비 절감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국내산 조사료 생산과 종자 개발에 관심이 높다.
극동영농법인(대표 윤훈오)에서 개발한 교잡 슈퍼 옥수수 ‘극동 6호’가 수도작 중심의 논에서도 성장률이 좋아 벼 대체 조사료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산간지에서는 알곡이 열리지 않아 알곡으로 인한 멧돼지나 야생 동물이 피해가 적다. 특히 국내 환경에 적합해 획기적 수율 향상과 높은 영양가, 뛰어난 단맛이 높은 기호성을 지닌 조사료 품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극동농업이 개발한 ‘극동6호’가 어떤 제품인지 알아보았다.
개발 동기
조사료 생산량이 높은 슈퍼옥수수 극동 6호는 10여 년의 연구 끝에 개발한 품종으로 옥수수의 원종인 데오신트에 잡초인 피와 수원 19호를 교잡해 형질을 고정한 옥수수다.
윤훈오 대표는 “고곡가 시대 사료비 부담에 따른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양질의 조사료 개발에 몰두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기호·내수성 높고 국내 환경에 최적화
첫째로, 사탕수수의 성분이 있어 당도가 높아 한우와 젖소, 염소 등 초식가축의 기호성이 높으며 잡초인 피의 형질이 있어 논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잘 자란다.
둘째로, 1개의 종자에서 자라면서 줄기 분열이 일어나 분열 수는 10~40개 정도이며 잎이 많고 줄기가 연하고 당도가 높아서 젖산발효가 잘되어 기호성이 우수하다.
셋째로, 태풍 등 비바람으로 쓰러져도 10일 정도만 지나면 열매가 없어서 잘 일어나고 멧돼지 등 산짐승에 의한 피해가 적다.
넷째로, 생장 기간은 150일 정도로 10월 초·중순에 수확 후 동계사료 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나 호밀 파종이 가능해 2모작으로 토지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재배 방법 및 생산량
슈퍼 옥수수 극동 6호는 국립종자원 종자 출원 2013-477로 등록돼 있으며 특징으로 단위 면적당 상대적으로 많은 수확량과 높은 당도, 강한 내수성을 꼽고 있다.
재배 방법은 파종하기 전 퇴비, 액비 등을 충분히 넣고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30℃에서 48시간 이상 물에 담근 후 파종하며 단, 봄 가뭄이 심할 경우 물에 담그지 않고 파종한다.
파종은 75cm×30~40cm (퇴비량에 따라 조절) 표면 흙은 3cm 이내로 살짝 덮어주고 제초는 파종 후 3일 이내에 해야 한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의 평가자료에 따르면 극동 6호는 ha당 기준 수확량이 13만4천56㎏으로 옥수수(광평옥) 6만7천556㎏, 수단그라스 11만9천667㎏, 케나프 10만1천792㎏보다 많다.
건물(마른 상태)도 ha당 2만7천299㎏으로 옥수수(광평옥) 1만9천412㎏, 수단그라스 1만7천719㎏, 케나프 2만4천157㎏보다 뛰어나다. 줄기의 당도는 5.1로 옥수수 4.0, 수단그라스 2.3보다 월등히 높다. 또 줄기가 연하고 잎이 많아 영양분이 우수하고 기호성이 높으며, 내산성, 내수성이 강하고 침수에도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 작물의 경우 단백질과 당도는 대부분 열매에 집중되는데 극동 6호는 열매를 잘 맺지 않은 대신 영양가가 줄기 등 전체에 고르게 분포돼 있어 가축들의 기호성이 높고 멧돼지 등 산지에서 산 짐승의 피해가 없다는 평을 받으면서 산악지역의 조사료 포에서도 재배가 쉽다.
일반적으로 옥수수는 밭에서 재배하지만, 수해에도 강해 극동 6호는 물 빠짐이 잘되는 논에서도 재배할 수 있고 재생능력이 우수해 생육기간 연중 3차례 예취해도 수확이 가능하다. 관리는 파종 직후 한 번 제초하면 수확 때까지 제초, 시비 등이 필요 없어 친환경적이면서도 인건비도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동계 사료작물과 2모작 재배도 가능
또 벼와 생육기간이 거의 비슷하므로 동계 조사료 작물과의 2모작 재배도 가능하다. 따라서 벼 재배 농가들이 2모작으로 하계작물과 동계작물로 벼 대체 작물로 재배할 때 벼 재배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다고 한다.
벼 대체 작물로 극동 6호를 파종할 때 벼 재배보다 직불금 등 보상비를 합하면 더 높은 수확을 기대할 수 있고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의 연중 살포가 가능하고 다비성으로 하절기 분뇨 잉여 환경문제 해소와 조사료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