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6.8℃
  • 구름조금강릉 8.7℃
  • 구름많음서울 6.1℃
  • 대전 7.5℃
  • 구름많음대구 11.7℃
  • 구름많음울산 12.5℃
  • 구름많음광주 10.3℃
  • 구름조금부산 12.4℃
  • 구름많음고창 8.8℃
  • 구름많음제주 12.6℃
  • 구름많음강화 6.6℃
  • 구름많음보은 6.8℃
  • 구름많음금산 8.2℃
  • 구름많음강진군 11.8℃
  • 구름많음경주시 11.8℃
  • 구름많음거제 11.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생산비 올려놓고 물가 잡는다니…”

손세희 회장 “할당관세 수입 이율배반적 정책” 직격
“멧돼지 박멸없는 ASF 방역도 모순…영혼 담은 정책을”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대한한돈협회 손세희 회장(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 사진)이 이율배반적인 정책으로 인해 농업농촌의 소멸이 가속화 되고 있다며 정부에 날을 세웠다.

물가당국의 축산물 할당관세 수입 움직임과 ASF 방역정책을 정면으로 겨냥한 것이다.

손세희 회장은 지난 1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에서 가진 축산전문지 기자간담회에서 “수많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다 보니 젊은이들이 농촌을 떠나고 있다. 키울 사람이 없으니 농축산물 가격이 비싸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동물복지, 탄소 중립 등 각종 비현실적인 규제까지 맞물리며 축산물 생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손 회장은 “더 비싸지는 구조를 만들어 놓고, 물가를 잡겠다며 할당관세로 축산물을 수입하는 이율배반적인 정책이 반복되고 있다”며, “그나마 할당관세의 (물가안정) 효과가 없다는 걸 정부가 알면서도, 모두가 힘든 시기에 특정 기업만 배불리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반면 한돈산업에는 중대한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손 회장은 “한돈농가들도 숨만 쉬고 있다. 인건비 부터 전기료, 원자재 가격, 가축분뇨 처리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게 올랐지만 정부는 안중에도 없다”고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한돈농가들이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는 게 궁극적인 물가안정 대책이 될 것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ASF 방역정책에도 화살을 돌렸다.

손 회장은 “야생멧돼지 ASF의 박멸이 아닌, 안정화가 정부 목표다. 야외 바이러스는 놔둔 채 농가에게 책임을 몰아가고 있다”고 전제, “지형이 다르더라도 외국의 사례처럼 야생멧돼지 ASF 박멸이 없는 한 ‘시한폭탄’이 될 수 밖에 없다.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영혼 담은 정책’을 거듭 주문했다.

양돈농가들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손 회장은 “양돈농가들의 무관심이 가장 무섭다. 조금만 더 고개를 돌리고, 지역 이기주의에서 탈피, 한목소리를 통해 (양돈농가 숫자가) 3천호로 줄더라도 3천만의 힘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