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세계 최강 덴마크의 양돈산업도 ‘탄소중립’ 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덴마크 농식품협의회 마이클 슈미츠 해외사절단장은 지난 2일 대전KT인재개발원에서 개최된 대한한돈협회의 ‘2025년도 전국 청년한돈인 경쟁력 강화 세미나’에서 ‘덴마크 양돈산업 및 동물복지 현황’에 대한 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주한 덴마크 대사관, 덴마크 양돈 관련 기업 사절단 등과 함께 이날 행사장을 찾은 슈미츠 단장에 따르면 덴마크 양돈장과 소 농장에 대해 오는 2030년부터 기후세(탄소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기후세 도입 원년에는 양돈장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40%에 대해 톤당 300크로네(DKK), 원화로 약 6만5천원이 부과되며, 오는 2035년에는 톤당 750크로네(16만1천400원)까지 늘어나게 된다.이에따라 기후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기술이 범 산업계 차원에서 개발 및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양돈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는 가축분뇨 처리 방법으로 35일 마다 이뤄지고 있는 슬러리 비우기 시기를 앞당기는 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주 간격일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4%, 1주 간격일 경우에는 40% 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크래퍼를 통한 일일 분뇨 제거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슈미츠 단장은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덴마크 양돈업계도 기후세를 수용할 수 밖에 없었다”며 “하지만 기후 관련 기술을 이용하는 게 기후세 보다 싸다. 더구나 노력만 하면 기후세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