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8 (월)

  • 흐림동두천 23.3℃
  • 흐림강릉 24.6℃
  • 서울 24.0℃
  • 천둥번개대전 24.8℃
  • 흐림대구 26.6℃
  • 흐림울산 26.8℃
  • 구름많음광주 25.6℃
  • 구름많음부산 24.7℃
  • 맑음고창 25.6℃
  • 흐림제주 29.2℃
  • 흐림강화 22.7℃
  • 흐림보은 24.5℃
  • 흐림금산 27.6℃
  • 구름많음강진군 25.6℃
  • 흐림경주시 26.7℃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봉

“꿀벌 생태계 보호, 전 지구적 공동과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꿀벌귀환 국제심포지엄 현장
농어촌공사·양봉협 주관…해외 6개국 전문가 참여 인식 공유
탄소중립마을 지정, 지자체 주도 임업체제 전환 필요성 제시도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전 세계적으로 꿀샘식물(밀원수) 부족에다 기후변화로 인한 꿀벌 질병 만연과 병해충 발생으로 꿀벌 생태계에 큰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국제적 인식을 함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병호) 농어촌연구원과 한국양봉협회(회장 박근호)가 공동 주관하고, 슬로베니아 대사관과 한스자이델재단 공동 주최로 지난 6월 28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꿀벌 귀환 국제심포지엄’<사진>이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슬로베니아, 한국, 중국, 베트남, 몽골, 일본 등 주요 6개 국가의 양봉업계 전문가가 참여해 나라별로 양봉 현황과 도전이란 주제를 통해 정보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전문가와 학계, 양봉농가 등 300여 명이 대거 참여해 큰 성황을 이뤘다.
이병호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원인이 한가지로 특정하긴 어렵지만, 많은 전문가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꿀벌실종의 결정적인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처럼 꿀벌실종 문제는 우리의 식탁, 나아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국제사회가 그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긴밀한 협력과 활발한 논의를 통해 꿀벌 귀환을 위한 행동을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근호 양봉협회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는 단순히 지구의 온도 변화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생태계와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꿀벌과 같은 중요한 곤충들에게 심각한 위협의 대상이 되고 있다”며 “꿀벌 서식지 보호를 비롯해 꿀벌의 건강과 생산성 향상 도모,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꿀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공동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이우균 고려대 교수는 ‘기후변화 위기와 우리의 역할’이란 주제를 통해 “임도 등의 인프라가 부족하여 산림경영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에 임목 가격의 비용 대비 수익성도 낮고 30~50년생 산림이 아직 생산기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국산 목재 시장의 시장점유율은 16%로 경쟁력도 낮다”며 “국가 주도 산림관리에서 토지 기반의 산업(농림업) 경영을 통한 지자체 차원의 ‘탄소중립마을’ 지정 및 지원을 통해 지자체 주도의 기후스마트 임업 체제로의 전환이 국가 탄소 제로 달성을 위한 핵심적인 쟁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터 코즈무스 슬로베니아(양봉협회장·아피몬디아 부회장) 박사는 ‘슬로베니아의 양봉 현황과 기술’이란 주제로 “현재 슬로베니아는 대부분 취미 양봉농가로 1만1천500명의 농가가 있으며, 1만2천545개 양봉장과 21만 벌통이 존재한다. 꿀벌은 카니올란 단일 품종으로 매년 1천480톤~2천400톤의 천연꿀이 생산되고 있다”면서 “양봉업에 대한 정부 지원은 활발하게 지원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제광린 중국 양저우대학 교수는 ‘중국의 양봉 현황’과 관련해 “중국의 꿀벌 개체수는 지난 2020년 기준, 전 세계 9.3%에 달하는 940만 벌통이 있으며, 연간 꿀 생산량은 45만톤(2020년 기준)으로 연간 로열젤리는 4천톤, 프로폴리스 400~500톤, 꽃가루(화분) 5천톤, 밀랍 1만톤이 생산되고 있다”면서 “꿀벌 자원으로는 주로 아피스 멜리페라(동북, 훈춘, 신장, 로열젤리 벌)과 아피스 세라나 등의 품종이 있다”고 알렸다.
팜홍타이 베트남 농업국립대학 양봉연구센터 소장은 ‘베트남의 양봉 현황 및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베트남에는 아피스 세라나와 아피스 멜리페라 두 품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양봉농가 수는 3만명이 150만 벌통을 사육하고 있다. 연간 꿀 생산량은 6만3천톤으로 최근 꽃 개화시기의 변화로 인해 용안나무가 꽃을 개화하지 않고 있있다”며 “새로운 꿀벌 질병 발생과 더불어 베트남 기업에 부과된 반덤핑 관세가 61.27%에서 58.74%로 낮아지고 벌꿀 품질이 제각각으로 2030년까지 양봉산업의 발전 전략과 함께 벌꿀 품질관리 강화에 나선다”고 말했다.
일본 측 발표자로 나선 코사카료 도쿄대 교수는 “꿀벌 개체수 감소는 기후변화 요인이 가장 크다”며 “한국처럼 양봉업 종사자가 대부분 60~70대로 기술을 전수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권형욱 인천대 교수는 ‘꿀벌 사료 표준화 모델 개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이승환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고라즈드 트루슈노베츠 슬로베니아 도시 양봉협회장은 ‘기후변화에서 지속가능한 양봉 기술과 양봉농가의 역할’에 대해, 박진 어반비즈서울 대표는 ‘벌 한 마리가 세상을 바꾼다’에 대해, 김재명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과장은 ‘꿀벌귀한 국제적인 협력 필요성’에 대해, 한상미 농촌진흥청 양봉생태과장은 ‘꿀벌과 지속가능한 양봉산업 유지를 위한 연구개발 전략’에 대해, 김혜경 한국농수산대학 교수는 ‘기후변화에 따른 양봉산업의 위기와 이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각각의 의견을 피력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