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4℃
  • 구름많음강릉 21.3℃
  • 구름조금서울 17.2℃
  • 구름많음대전 21.1℃
  • 맑음대구 18.8℃
  • 맑음울산 17.7℃
  • 구름많음광주 20.9℃
  • 맑음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21.7℃
  • 흐림제주 24.5℃
  • 구름많음강화 16.6℃
  • 구름조금보은 18.7℃
  • 구름많음금산 22.6℃
  • 구름많음강진군 21.2℃
  • 맑음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1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지역단위 양분총량 관리…인센티브 연계 필요”

제1차 가축분뇨자원화 전문가 토론회서 제기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친환경자연순환농업협회 통합형 가축분뇨 자원화 혁신모델 사업단(단장 김동수)은 지난 1일 서울 용산역 KTX 제5회의실에서 ‘제1차 가축분뇨 자원화 전문가 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가축분뇨의 환경영향과 정책개선 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는 한국축산경제연구원 노경상 원장을 비롯해 국립축산과학원(최동윤 과장), 논산시(이오순 팀장), 축산환경관리원(이행석 부장), 충남대(정덕영 교수), 건국대(이상락 교수), 서울대(최지용 교수), 한경대(윤영만 교수), 남원공동자원화(이영수 대표), 대한한돈협회(조진현 부장), 사업단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가축분뇨 최적관리 방안으로 경종농가를 대상으로 한 적정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환경용량을 고려한 살포를 위해 인센티브와 벌칙제도를 연계해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분총량제의 지역단위 시행도 필요하다고 의견이 모아졌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양분총량제의 지역단위 시행을 위해 지역양분 자료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지역간 및 지역내 이동 등을 고려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양분 공급량과 수요량을 바탕으로 지역별 잉여양분 감축목표를 제시해 이를 달성하지 못한 지역은 축산허가 제한과 각종 생산자금 지원에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종합적인 차원에서의 운영기반 구축과 사후관리가 아닌 사전적 예방대책 중심의 가축분뇨 관리로 경종ㆍ축산ㆍ주민 생활환경개선 등과 연계해 통합관리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참석자들은 주문했다.
노경상 축산경제연구원장은 “이번 토론회에서 가축분뇨 자원화와 관련된 많은 좋은 의견이 있었다”며 “토론회 자료를 실증연구기관에 연구 참고자료로 제공하고 정부기관에 제도개선 과제로 건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