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7℃
  • 흐림강릉 24.4℃
  • 서울 24.2℃
  • 대전 24.4℃
  • 대구 23.1℃
  • 울산 23.7℃
  • 광주 24.1℃
  • 부산 24.0℃
  • 흐림고창 25.7℃
  • 흐림제주 27.9℃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3.0℃
  • 흐림금산 23.8℃
  • 흐림강진군 24.6℃
  • 흐림경주시 23.6℃
  • 흐림거제 24.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말(기타)

유통구조 개선 통한 ‘도약의 해’ 기대

■양록산업 새해 전망

  • 등록 2010.01.11 14:45:41
 
김상우 농학박사<농진청 축산과학원>

2001년을 기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한 국내 양록산업은 그 끝이 어디인지 모르게 하락했다. 2008년말 통계에 의하면 국내 사슴사육 농가 및 마리수는 6만1천 농가, 78만8천두로 2001년 대비 50%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녹용의 자급율도 15%수준으로 떨어졌다.

생산이력·인증제 등 고품질 안전성 확보 제도 마련 시급
녹용산물 가공·유통·교육 등 고른 성장발전 도모해야

지금까지 지속적인 사슴사육두수와 농가수 감소의 결정적인 요인은 국내 녹용시장의 유통구조가 정립되어있지 못하고 국산녹용의 유통이 농가 개별로 판매되고 있는 현실에서 오는 한계이다.
앞으로는 사슴사육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양록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녹용산물의 가공분야, 유통분야 그리고 현장교육 등이 골고루 성장을 해야 가능할 것이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뉴질랜드·호주와의 FTA 체결땐 세계최대 녹용 수출국과의 경쟁에 직면, 국내 양록농가의 어려움이 크게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농산물 대형유통회사를 키워낼 계획을 가지고 있다. 우리 양록분야에서도 이런 녹용유통을 전담할 수 있는 회사가 설립되고 발전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그동안 환율의 상승 및 수입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결국 우리농가에 사료값 상승을 가져왔다. 공산품가격은 대체로 원자재 가격상승이 바로 생산품의 가격상승으로 이어지지만 축산물은 사료값의 상승이 생산품의 가격으로 반영되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요인은 결국 양록 농가에서 암사슴을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당장의 소득을 생각하면 당연할 결과일 수도 있겠다.
현재 우리가 사슴을 수입할 수 있는 나라는 호주와 뉴질랜드 두 나라 뿐이다. 그 나라들도 우리가 선호하는 개량된 엘크는 얼마 되지 않는 나라들이다.
그러나 현재에도 국내에서 종록을 생산하는 농가에서는 자록을 생산하여 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좀더 넓은 시야로 바라본다면 자기농장에서 장차 사육할 후보 사슴들을 길러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최근의 국내 소비자들의 최대 이슈는 안전성이다. 모든 식품에 대한 안정성을 구매 요소의 첫 번째로 꼽게 만들었다. 우리의 양록산물은 어떠한가? 우리도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미리 충족시켜 주고 믿게 만들어 준다면 녹용의 구매자들은 좀 더 쉽게 국산녹용의 소비에 나서고 소비량도 늘어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양록분야에서도 다른 분야에서 하고 있는 생산물이력제 라든지 우수농산물 인증제도 등을 우리 사슴농장에서도 도입하여 수비자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양질의 녹용을 생산해야할 것이다. 또한 우리사슴농가는 녹용생산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녹육의 생산 및 이용이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해야한다.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게 생녹용 판매보다는 먹기 쉽게 농가에서 달여서 판매하는 것도 농가소득을 올릴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 일부 농가에서는 녹용도 등급을 만들어 제품을 다양화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전지상태를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도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으로 녹용도 등급을 만들어 고가품과 저가품으로 다양하게 만들면 소비자가 더 쉽게 우리의 국산녹용을 구매할 수 있을 것이다. 학계와 연구기관에서도 녹용의 가공방법 개발과 기능성 녹용의 개발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양록산업의 활성화는 누구의 몫도 아닌 우리 양록 농가의 몫이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농산부산물의 활용이나, 녹용을 차별화 할 수 있는 브랜드 개발 및 소비자가 원하는 안전성이 보장된 질 좋은 국산녹용을 생산한다면 소비자들은 국산녹용을 찾을 것이다. 2010년 새해에는 국내 양록 산업이 활성화되고 발전하는 한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