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전라북도가 전국 최초로 염소등록 지원 사업비를 신설하고, 일반 농가 차원의 개체 등록을 시작했다.
이는 염소를 산업 축종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제도 기반 마련의 출발점으로, 향후 품종 개량과 질병 방역 체계 구축 등 후속 사업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전라북도와 한국종축개량협회는일반 농가로는 국내 최초로 염소 등록 작업을 지난 21일 전북 순창군 산내들흑염소농장(대표 김영화)에서 진행했다.
작업 초반은 낯선 등록 절차와 염소의 민감한 반응 탓에 다소 지체됐지만, 전북도청 관계자와 농장주가 함께 적극적으로 작업에 참여하며 일정은 원활히 마무리됐다.
김영화 대표는 “지금도 염소 판매에는 큰 어려움이 없지만, 미래에는 이름을 가진 개체가 더 높은 가치를 가질 것이라 본다. 한우도 족보가 있는 것이 높은 값을 받고 있지 않는가. 결국 염소도 그리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등록은 단지 명단을 만드는 일이 아니라, 앞으로 염소의 품질을 증명하고 산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있어 필수적인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사업은 염소 산업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장기적인 경쟁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라북도가 새롭게 추진한 정책이다.
전북도는 염소가 한우·돼지·닭등 주요 축종에 비해 제도 기반이 미흡하고, 유전 형질 관리 및 질병방역 체계에서 배제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해 올해 스마트축산사업 내에 ‘염소 등록 지원 항목’을 신규로 반영하고 5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사업은 ▲염소 등록 지원 ▲출하체계 연계 ▲유통 기반 확충 등으로 구성되며, 등록 지원을 통해 개체별 이력 관리가 가능해지고, 출하체계 연계는 농가의 판로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유통 기반 확충은 염소고기의 품질 기준 확립과 소비자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올해 순창군, 장수군을 중심으로 시범 운영한 뒤 도내 타 시군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한국종축개량협회 김정일 부장은 “염소 등록은 단순한 개체 관리가 아니라 산업화의 초석을 다지는 작업”이라며 “이번 시범 등록을 계기로 개량, 방역, 유통 등 전 분야에 걸친 체계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훈 전북도청 축산과 팀장은 “염소 사육두수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도 밖에 머물고 있어 질병관리, 품종 개량, 근친 교배에 대한 대책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이번 등록 사업은 염소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