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국내 사육환경 기생충 감염 자체가 어려워
무책임한 보도 소비자 ‧ 농가 피해 불가피
덜익은 돼지고기를 먹고 기생충에 감염됐다는 미국발 기사가 국내 언론 매체를 통해 잇따라 보도되면서 양돈업계가 즉각 대응에 나섰다.
대한한돈협회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상황과 무관하고 근거도 부족한 돼지고기와 낭미충(갈고리촌충의 유충) 감염 우려 보도가 소비자의 불필요한 불안감 조성과 함께 한돈 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한돈협회에 따르면 지난 1989년 이후 국내산 돼지고기에서 낭미충(갈고리촌충의 유충) 감염 사례가 단 한 건도 보고되지 않고 있다.
대한기생충학회는 1971년까지만 해도 1.9%에서 발견된 이 기생충이 2004년 아예 사라졌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1980년대 부터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한돈농가에서 사료 급여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낭미충 감염 위험이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이다.
한돈협회는 과거 일부 지역에서 '똥돼지'가 사육되기도 했지만 철저한 위생 관리와 과학적인 사육 방식이 도입되면서 모든 기생충 감염 위험이 극히 낮아진 현실도 강조했다.
더구나 멕시코, 남미, 아프리카, 인도 등 해외 일부 국가에서 아직까지 낭미충이 발견되고 있지만 낭미충 유행지의 돼지고기는 수입되지 않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입된다고 해도 검역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는 특성상 막상 국내에 유통될 가능성도 희박함을 지적했다.
한돈협회는 특히 낭미충 환자 발생이 최근에 먹은 돼지고기와는 무관하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에도 주목하고 있다.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낭미충 환자 대부분 10-20년 전에 감염된 경우로, 뇌로 간 낭미충이 오랜 기간 증상 없이 잠복해 있다가 나중에 증상이 나타나는 특성 때문이다.
한돈협회는 이러한 사실이 이미 수차례 정정 보도돼 왔음에도 불구하고 수년 간격으로 유사한 보도가 반복되고 있는 현실에 깊은 안타까움을 표출하기도 했다.
한돈협회 손세희 회장은 “부정확한 정보가 대중 매체를 통해 전달, 가뜩이나 수입 돼지고기의 거센 공세와 생산비 상승과 돼지가격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돈농가들에게 불의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더욱 신중을 기해줄 것”을 각 언론매체에 강력히 촉구했다.
아울러 단순히 시청률이나 조회수를 높이기 위한 악의적이고 흥미 위주의 보도는 철저히 자제해 줄 것도 당부했다.
한편 미국의 한 언론매체는 지난 28일(현지시각)을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 의대병원 응급실 의사의 주장을 인용, 주로 덜 익은 돼지고기 등 유충이 들어있는 음식물 섭취로 감염되고 있다며 낭미충증 발생 사례를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워낙 혐오스러운 사진과 함께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명이 감염. 이 가운데 5만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까지 소개되자 국내 언론들이 경쟁적으로 해당기사를 인용 보도, SNS를 통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