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고령화·후계인력 부족 현상 심화로 산업 근간 위태
FTA 대응 비관적 전망 확산…특단의 종합대책 시급
낙농현장에 부채증가와 후계자 부족 문제가 두드러지면서 생산기반 붕괴의 적신호가 켜졌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이재용)가 발표한 ‘2023 낙농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농가당 평균부채액은 6억8천100만원으로 전년대비 9천500만원(33%p) 증가했으며 특히, 4억원 이상 고액부채비율은 약 76%로 26.5%p 늘어나 부채증가세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발생 원인은 시설투자(33.5%), 사료구입(24.9%), 쿼터매입(19.0%) 순이었으며, 시설투자 항목은 축사개보수(20.6%), 착유시설(20%) 분뇨처리시설(14.8%), 세척수 처리(10.6%) 등으로 나타나, 생산성 향상 및 축산환경문제 개선을 위한 투자 중심으로 이뤄졌음이 확인됐다.
낙농가들은 목장경영에 있어 어려운 점으로도 부채문제(45.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목장폐업을 계획하는 농가들의 주된 이유도 부채문제(16.6%)로 전년대비 3.2%p 늘어, 2020년 이래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다.
설상가상 조사에 따르면 목장주들의 고령화 및 후계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낙농산업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었다.
후계자 유무 및 향후 육성계획과 관련해 ‘후계자가 있다’(32.9%), ‘아직은 없으나, 육성계획은 있다’(16.4%)로 나타난 반면,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44.9%)’고 응답한 농가비율은 전년대비 7.2%p 크게 늘어난 것.
또, 목장주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더라도 40대(18.5%), 50대(21.2%), 60대(44.0%), 70대 이상(8.8%)으로, 20∼40대 경영주 비율은 25.9%로 전년대비 1.6%p 감소한 반면, 50~70대 경영주의 비율은 74%로 전년대비 1.1%p 증가했다.
이밖에도 2019년부터 FTA 및 다자간 무역협정 하에서 낙농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지속적으로 확산하고 있었으며, 낙농가들은 FTA 하에서 필요한 낙농대책에 대해 사료가격 등 생산비 절감대책(54.1%), 전국단위 낙농제도개선(16.5%) 순으로 꼽았으며, 현재 정부지원이 가장 필요한 사업으로 사료가격 안정대책(67.0%), 낙농헬퍼지원(15.3%), 축산환경개선을 위한 지원(7.4%) 순으로 나타나 사료비 급등으로 인한 생산비 절감이 시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재용 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낙농가 부채 및 후계자 부족, 고령화 문제가 여전히 낙농경영에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며 “시장개방 확대와 럼피스킨 등 가축질병 확산으로 낙농의 미래에 대한 불안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사료가격 안정대책, 근본적인 낙농제도 개선 등 낙농육우 기반유지와 경영안정을 위한 정부의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