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24.0℃
  • 맑음서울 21.4℃
  • 맑음대전 20.3℃
  • 구름조금대구 19.4℃
  • 구름많음울산 18.7℃
  • 흐림광주 20.9℃
  • 흐림부산 21.0℃
  • 흐림고창 18.4℃
  • 흐림제주 21.8℃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6.8℃
  • 구름조금금산 17.4℃
  • 흐림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6.7℃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가금

“오리휴지기제 자동 연장…부작용 심각”

업계, ‘특방’기간 연장 따른 대책 호소
수급불안 야기…식당 등 수요처 상실
농가 출하주기 차질…연쇄도산 우려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오리 관련 종사자들이 오리산업이 붕괴 위기에 처했다고 토로하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극심한 소비침체를 겪는 상황에서 방역당국이 특별방역기간(이하 특방기간) 마저 연장해 오리산업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정부는 현재 AI 방역을 위한다는 목적으로 특방기간 중 ‘오리 휴지기제’를 시행하고 있다. 당초 올 겨울 오리 휴지기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특방기간이 종료되는 올 2월 29일까지 4개월간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특방기간이 연장되며 휴지기한도 연장 된 것. 이처럼 오리농가들이 사육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장기간 이어지자 오리업계에서는 가중되는 수급불안으로 막대한 손해가 발생한다는 주장이다.
한 오리 계열화업체 관계자는 “오리고기의 수급불안이 매년 이어지자 현재도 많은 수의 전문식당들이 없어지며 전반적인 오리고기 소비시장이 줄어들었다. 때문에 계열화업체들은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더 이상의 업체 이탈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냉동비축, 오리농가 확보 등에 많은 추가비용을 지출한 상황”이라면서 “현 상황이 장기화 될 경우 도산하는 업체들이 수두룩할 것”이라고 전했다.
반복적인 수급불안 탓에 오리고기 시장자체가 줄어든 상황에서, 공급안정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해 수익구조가 악화됐다는 것. 
실제로 한 오리계열화업체는 지난겨울 초 오리 휴지기에 대비, 농가확보를 위해 농가에 선급금을 지불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소비가 위축돼 자금이 회수가 안되는 등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오리 농가들도 특방기간 연장에 피해를 보는 것은 마찬가지다.
전남에서 오리 4만여수를 사육하고 있는 한 농가는 “우리 농장의 경우, 지난해 10월 중순 출하를 마지막으로 현재 사육을 못하는 상황이다. 당초 휴지기에 일찍 들어간 우리 같은 농장의 경우 그만큼 입식을 일찍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하지만 이번에 기간이 일제히 연장돼 5월에도 입식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당초 예상보다 두 달 가까이 휴지기가 길어졌다는 것이다. 더욱이 일제히 입식이 몰리게 되면 병아리 부족으로 인해 재입식기간이 더 늘어나 반년이상 사육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오리협회 김만섭 회장은 “오리농가들은 겨울철마다 반강제적인 사육제한으로 생계의 위협을 받고 있다”며 “특별방역기간 연장에 따라 발생하는 가금농가들의 피해에 대해서 정부는 반드시 정당하게 보상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