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전문가들이 바라본 양돈현장 냄새관리는 / “노력하고 있지만…디테일 부족”

주어진 여건에서 대안찾기 골몰…잠재 민원 해소도
냄새 원리·저감제 기전 이해 부족…투자 효과 떨어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냄새 민원과 규제가 양돈농가들을 옥죄오고 있다.
이제 냄새를 빼놓고는 양돈산업의 미래를 논할 수 없다는 위기감 마저 팽배해져 있는 상황.

투자 못하면 관리로
그렇다면 양돈현장의 냄새관리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을까.
지난해 대한한돈협회의 양돈장 냄새저감 컨설팅 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컨설팅 농가에 국한된 것임을 전제, “주어진 환경내에서는 냄새저감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경기지역 컨설팅을 담당한 김동수 컨설턴트는 “임대형태가 대부분인 지역의 농가들은 낙후된 시설개선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다 지자체 지원 외에 별도로 냄새저감제를 구입해 사용하는 것 조차 부담스러울 정도로 영세했다”며 “하지만 올인-올아웃을 철저히 유지하거나, 수시로 물청소를 실시하는 등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시화로 인해 시설투자의 위험성이 큰 농장의 경우 부분 개보수나, 냄새저감제 집중 투입 등의 대안을 찾아 적용하고 있다는 것.
충남지역의 조성백 컨설턴트도 시각은 다르지 않았다.
그는 “지금 당장은 걱정이 없는 농장들까지도 미래의 잠재적 민원을 감안, 시설투자를 검토하는 등 다양한 추가대책을 고민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막연한 기대감 문제
문제는 농가 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냄새 관리의 ‘디테일’ 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상당수 농가들이 냄새의 원리와 각종 저감 대책의 기전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하면 좋다”는 막연한 기대감만으로 시설개선 및 보강에 나서거나, 냄새저감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보니 전반적으로 시설과 냄새저감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을 뿐 만 아니라 투자 대비 만족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동수 컨설턴트는 “농가와 상담과정에서 가축분뇨 처리와 냄새 자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정말 의외였다”며 “컨설팅의 상당시간을 농가들의 이해가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거나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는 데 할애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새로운 투자 보다는 세심한 사양관리와 기존 시설의 일부 보완 및 운영개선을 통해 냄새 발생을 줄이고, 농장 상황에 맞는 냄새저감제 선택, 적절한 사용방법 제시로 그 효과를 높이는데 컨설팅의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지난해 한돈협회 컨설팅 지원사업에 참여한 농가들 역시 그 성과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면서도 “냄새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보다 효과적으로 냄새를 관리할 수 있게 됐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

주입식 교육도움 안돼
축산환경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 냄새 뿐 만 아니라 냄새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가축분뇨 처리에 대한 대농가 심화교육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것도 일방통행형 주입식 집합교육 보다는, 각 농가별 상황이 가미될 수 있는  쌍방향 소통형 교육방식이 바람직하다는 분석이다. 
냄새컨설팅 지원사업을 올해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한돈협회의 계획이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컨설팅 지원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농장이 처한 상황이나 냄새 관리수준에 따라 컨설팅 대상을 분류, 컨설팅 내용과 컨설턴트 선정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컨설팅 과정에서 시설투자가 불가피한 경우 제도적, 경제적 뒷받침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나 지자체와 연계방안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양돈현장의 냄새 개선 노력을 대외적으로 알리고, 그 성공사례가 타 지역으로 확산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양돈농가들이 효과적인 냄새저감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검증시스템 구축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축산환경 전문가 는 “수십억을 들여 공장과 같은 시설투자를 해놓고도, 냄새 관리에 실패한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며 “(냄새관리에)노력하는 농가까지 피해를 입는 비현실적 환경규제를 지양, 그렇지 않은 농가와 옥석을 가리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