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시론>축산인 모두 홍보대사가 되자

 

윤봉중<본지 회장>

 

예년 같지 않은 쌀쌀한 늦가을 날씨가 아주 추운 겨울을 예고하고 있다. 올 한 해도 한 열흘만 지나면 달력 한 장이 달랑 남는다.
이즈음 축산인은 어떤 마음일까. 날씨야 좀 더 추울 수도 있고, 한 해를 보내는 아쉬움이야 늘 있는 만큼 아무려면 어떠랴. 문제는 축산을 둘러싼 악조건의 환경이 여전히 축산인을 옥죄고 있으니 늦가을 날씨가 더 쌀쌀하고 춥다. 불과 한 달 열흘 뒤면 다가올 새해가 벌써부터 걱정이다.
다시 한 번 돌아보자. 본격적인 FTA 개방 시대를 맞아 축산인들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무엇보다 경쟁력있는 시설을 갖춰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기존 시설을 뜯어 고치든지, 아니면 새로운 장소로 옮겨 제대로 된 축사를 마련해야 한다. 가축분뇨를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서라도 그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도 그것을 권장하며 지원 예산을 확보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 우선 일부 지자체의 일방적인 규제도 문제지만, 지자체에서 그것을 허락했다하더라도 주민 동의에 발목이 잡혀 축산을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상황이 거듭된다면 우리 축산의 기반이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이를 그냥 지켜보고 있어야 할 것인가.
우리 식탁은 이미 축산물이 그 중심에 와 있다. 축산식품이 식량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간 우리 1인당 축산물 소비량을 보면 돼지고기 19kg, 닭고기 11kg, 쇠고기 10.3kg, 우유 및 유제품 70kg, 여기다 오리고기, 계란을 비롯 염소 고기 등 기타 육류를 합치면 120kg이 넘는다. 반면 쌀은 1인당 69.8kg으로 70kg에도 못 미친다.
그럼에도 우리 축산의 존재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깨끗한 환경을 위해서 마치 이 땅에서 몰아내야할 산업으로 인식하고 홀대해야 하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실제 그런 인식과 홀대 때문에 우리 축산 기반이 무너지고 마침내 우리 국민이 먹어야할 축산물을 수입에 의존한다면 과연 우리 국민들이 축산식품을 안심하고 안정적으로 소비할 수 있을 것인지 또한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우리가 선진국으로 가는 길에 식량 안보가 발목을 잡는다면 그 뒷감당,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혹자는 여기서 축산이 부가가치가 낮음을 문제 삼는다. 그러나 자원이 빈약한 나라에서 부가가치를 논하는 것은 넌센스다. 더욱이 축산업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산업이 아니다. 축산업은 식량 안보 차원에서 어떤 경우에도 우리가 원하는 자급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반을 구축해야할 산업이다.
그러면 외국은 축산업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 등 유럽은 분뇨를 땅에 환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분뇨를 논밭에 뿌릴 경우 국민들이 이를 이해하고 참아줄 것을 적극 계몽한다고 한다. 축산업 존재 이유가 식량안보나 수출을 위한 것임을 기꺼이 이해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우리라고 그들 나라와 다르지 않다. 정부가 나서서 축산 존재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 국민들에게 적극 설득할 일이다.
그런데 축산인들은 생산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 못지않게 소비 현장에서도 안타까운 장면을 목격한다. 그것은 축산식품 유해론이 대중 매체를 타고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축산식품 유해론은 축산식품을 적정 수준 이상 소비하는 일부 고소득층 이야기다. 그럼에도 마치 전국민이 축산식품을 기피해야 하는 것처럼 오도되고 있다. 얼마 전 축산식품학회는 이 같은 축산식품 유해론이 확산될 경우 결국 피해를 입는 계층은 어린이와 노인, 그리고 빈곤 계층이라고 지적했음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축산 지도자들이 축산의 존재 가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알리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속히 설치하고 실행계획을 세워 하나 하나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강조되는 것은 축산인들 자신이다. 생산 현장에서 환경 친화적인 축산으로 지속 가능한 축산에 매진하는 한편 소비 현장에서는 모든 축산인이 축산물 홍보대사가 돼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축산은 축산인 스스로 지키는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