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비육돈 FMD백신 3개월령 접종을

경기축산위생연, 모체이행항체 백신효과 저해 ‘규명’

[축산신문 양주=김길호 기자]


모돈 백신항체가 5개월 유지…국내 첫 학회지 논문 등재


돼지 FMD 백신 효과에 대한 의문점이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에 의해 규명됐다.

경기도 북부축산위생연구소(소장 허섭)는 지난 17일 돼지의 FMD 백신접종 항체가 유지에 대한 연구를 완료하고 KCI 등재지인 한국가축위생학회지에 논문을 등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 발표한 논문은 지난해 문제가 제기된 FMD 백신 항체 효능을 조사한 것으로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논문(원저) 형태로 등재됐다.

연구소는 2012년 경기도 포천지역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시험연구를 추진해 어미돼지의 백신 항체 수준과 비육돼지의 면역형성 정도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어미돼지는 백신 항체가를 5개월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돼 예방접종으로 FMD을 방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육돼지의 경우 항체 양성율이 50%이하로 나타나 어미돼지의 면역 수준, 백신접종 일자 등으로 세분해 추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후 2개월에 접종하는 것 보다 3개월에 접종 하는 것이 면역 형성에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어미돼지가 태반 또는 수유를 통해 어린돼지에게 면역력을 잘 전달해 주지만, 백신 접종 전에 항체가가 높은 경우 백신접종 효과를 저해하는 간섭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된 FMD백신의 효능에 대한 문제점은 비육 돼지에게만 한정된 것으로 밝혀졌다. 

허섭 소장은 “대만, 중국, 베트남 등 우리나라 주변국가에서 여전히 FMD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소와 어미 돼지는 기존의 백신 프로그램대로 철저히 접종을 하고, 비육돼지는 2개월 된 어린돼지 판매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3개월에 백신접종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