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30.0℃
  • 맑음강릉 28.9℃
  • 구름조금서울 30.8℃
  • 맑음대전 29.7℃
  • 구름많음대구 29.4℃
  • 구름많음울산 27.0℃
  • 구름조금광주 29.1℃
  • 구름많음부산 26.6℃
  • 맑음고창 29.5℃
  • 구름많음제주 26.1℃
  • 맑음강화 27.2℃
  • 맑음보은 27.6℃
  • 맑음금산 29.0℃
  • 구름많음강진군 28.9℃
  • 구름많음경주시 28.6℃
  • 구름많음거제 26.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낙농

사육규모 작을 수록 낙농가 수익 격감

50두 미만 농가-100두 이상 농가 순수익 7배 차이

[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제한된 자원·인력 극복 한계…위탁목장 대안 가능성

 

사육규모가 작을수록 낙농가 수익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생산비는 리터당 1천3원으로 전년대비 44원(4.6%)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원유기본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사육비(948만9천원) 대비 총수입(1천122만원)의 증가로 젖소 두당 순수익은 전년대비 20만1천원(13.2%) 증가한 173만1천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젖소 두당 순수익을 사육규모별로 살펴보면 그 격차가 급격하게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0두 이상 사육농가의 경우 지난해 젖소 두당 순수익은 212만원이었으나, 70~99두 사육 농가는 189만9천원, 50~69두 사육농가는 105만8천원으로 낮아졌으며, 50두 미만 사육농가의 경우엔 30만4천원으로 100두 이상 사육농가와 7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사실 소규모 농가가 대규모 농가에 비해 사육두수, 시설·설비, 사료수급, 노동력 등 불리한 여건 탓에 경제적 효율성에서 뒤처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문제는 이러한 50두 미만 사육농가가 전체 낙농가의 4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50두 미만 사육농가 중엔 고령층에 후계자도 없다보니 규모를 늘릴 여력도 없어 현상유지를 하며 폐업을 계획하고 있는 곳이 상당수다.
하지만, 생산의지가 높아도 환경적 규제나 열악한 환경 탓에 수익성을 개선하지 못하고 폐업으로 내몰리는 농가들도 부지기수다.
작은 규모라도 수익성을 개선하는 방법은 있다. 소규모 농가는 사육두수가 적은 만큼 사양관리에서 유리하다. 유전체 분석 등을 통해 고능력우 우군을 확보하고 번식관리 및 단계별 사양관리에 집중함으로써 경제수명을 늘리고 분만간격을 짧게 해 생산성을 높이면 알짜배기 목장이 될 수도 있다는 것. 그럼에도 제한된 자원과 인력 문제를 극복하기엔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기반 유지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업계 관계자는 “50두 미만 농가라면 착유우가 20두에 일평균 유량도 600~800kg 수준에 머물 것이다. 어떻게 경영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수익을 낼 수도 있겠지만, 규모에 의한 한계는 있다. 또, 여러 이유로 목장 규모를 확대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도 있어 농가 개인의 의지만으론 해결이 어려울 때가 있다”며 “공동 목장 개념으로 농가가 젖소를 위탁해 사육하는 방식을 통해 환경적, 육체적 한계에서 벗어나 생업을 이어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