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저탄소 인증 연계 단기사육 참여 유도
경제성·맛 분석…24~28개월령별 사육모델 개발도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3일 현행 30개월에 달하는 한우 사육기간을 단축, 농가는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 소비자는 보다 저렴하게 한우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육기간을 단축한 한우에 ‘저탄소 축산물 인증’ 하는 제도를 확산하는 한편 전국의 한우 단기사육 우수사례를 발굴해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전국 다양한 농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정 사육모델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말부터 사육 과잉으로 인한 공급 증가,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수요 감소로 한우 도매가격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2022년 이후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생산비의 약 60%를 차지(송아지 가격 제외)하는 사료 가격은 더욱 높아져 농가 소득이 크게 하락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환경에 부담을 덜 주고 탄소를 보다 적게 배출하는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을 짧게 가져갈 경우 농가, 환경, 소비자에게 모두 이득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인 강원대학교 박병기 교수팀에 따르면 “현행 30개월 사육 대비 24개월 사육 시 사료 비용이 약 32% 절감되고 온실가스 배출은 약 25%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우 생산비용 감소는 궁극적으로 가격 측면에서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우는 수입육 대비 고유한 맛과 품질로 수요층이 두터운 편이지만 보다 저렴한 가격대를 원하는 소비자 수요층도 늘어나고 있어 사육기간을 단축한 한우는 장기적으로 소비자 선택권을 넓힐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농식품부는 사육기간 단축을 위해 농협, 강원대, 전남대 등과 함께 2022년부터 올해 12월까지 최적의 소 단기 사육모델을 개발 중에 있다. 당시 송아지 600마리를 구입해 유전형질, 사육기간, 영양수준별 사양시험 프로그램을 각각 적용해 24개월, 26개월, 28개월령이 되었을 때의 경제성 분석과 맛 등을 평가하고 있으며, 송아지 유전형질 분석을 통해 높은 등급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개체는 26~28개월을 사육하고 낮은 개체는 최대 24개월령까지 사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한우 단기 사육모델 프로그램을 만들고 가격 경쟁력이 높은 별도의 한우 시장이 만들어지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김정욱 축산정책관은 “한우는 한국 고유의 품종으로 수입산 쇠고기에 비해 맛과 풍미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지만 향후 농가의 경영 안정과 한우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단기사육 모델 보급을 확산, 농가의 생산비는 낮추고 소비자의 구매 부담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