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인터히트=오래가는 보온등’ 수식어…세계적 인기 빠른 시간 내 설정온도 도달 즉시 절전모드 전환 주변 온도 관계없이 원하는 보온환경 효율적 유지 한우, 젖소, 염소, 양돈, 양계 등 어린 가축에게 보온은 필수적이다. 축주 입장에서 어린가축은 면역력이 약하고 저온으로 인한 대사성 질병과 폐사의 주요인으로 각별하게 신경을 써야한다. 주야간 온도차로 인한 어린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사양관리, 보온, 환기, 응급조치 등 항상 송아지들의 상태를 살피고 그 만큼 해야 할 일도 많은 시점이다. 어린가축은 어미와 달리 적절 희망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번식 가축 사육농가들은 혹한기와 요즈음 환절기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현장에서 출생한 가축을 잘 키우는 ‘사육사’들이 말하는 환절기 관리의 핵심은 환기 보온과 함께 호흡기 질환의 초기 발견의 중요성으로 요약됐다. 특히, 개방형 축사의 경우 “갓 출생한 어린가축은 어미의 체온을 제공하고 점차 1주일에 1℃씩 온도를 내리면서 적응력을 키우고 3개월 이상 되는 송아지에 대해서는 호흡기 백신을 접종하고, 깔짚을 충분히 공급해 송아지가 체온을 보존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보온등을 가동하는 것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