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경남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우량한우(엘리트카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용)에서 조사한 2021년 2/4분기 우량한우 암소 현황에 따르면 경남도에서 보유한 엘리트카우는 총 2천506두이며, 보유농가는 1천378농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두수로는 전분기 대비 73두, 농가수로는 11농가가 늘어난 것이다.상승폭이 큰 곳은 경북도다. 경북도는 2천340두, 1천378농가로 1위 경남을 바짝 뒤쫓고 있다. 경북도는 전분기 대비 두수로는 140두, 농가는 67농가가 늘어났다.엘리트카우 누적두수는 1만1천349두이며, 보유농가는 6천369농가, 전분기 대비 270두, 62농가가 각각 늘어났다.한종협은 우량암소 중 후대축 도축성적이 2회 이상 우량암소 기준을 충족하면서 2계대 이상이고, 후대축 평균 도체중이 500kg이상, 등심단면적 120㎠이상인 것은 초우량암소로 선정하고 있다.단위 지자체 중 현재 초우량 암소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북 정읍시로 총 24두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거창군이 19두로 많다. 전국에는 현재 총 269두의 초우량암소가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조사료 함량 낮추고 육성기 소화효율 극대 출하월령 단축…도체중·육질 개선효과 뚜렷 성공사례 입소문 타고 판매량 가파른 증가 익산황토우영농조합(대표이사 이하일·워낭농장 대표·사진)에서 생산하는 엔자임 사료가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하일 대표는 조사료 함량을 과감하게 낮춘 엔자임사료를 개발해 자신의 농장에서 시험사양을 시작했고, 지난해부터 출하월령을 25개월 전후로 단축시키면서도 도체중과 육질이 우수한 한우를 생산하면서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연 생산량 5천톤에 불과하던 익산황토우사료의 생산량은 1만5천톤까지 늘어났다. 이 대표는 “황토우 대표직을 맡으면서 고민이 많았다. 변화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고민과 연구 끝에 조사료 함량을 줄이면서 육성기 소화효율을 극대화시킨 엔자임 사료를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기존의 사양관리 방식에서 벗어난 형식의 사료라 처음에는 기대감보다는 의구심이 컸고, 농가들의 관심도 낮을 수 밖에 없었다. 이 대표는 자신이 운영하는 워낭농장에서 직접 시험사육을 시작했다. 이 대표는 “우리 사료는 조사료의 함량은 5% 수준으로 낮추면서도 추가 조사료를 급여하지 않고 소를 키울 수 있는 사료다.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현장 실정 고려한 현실적 지원 선행돼야” 농촌의 고령화와 고비용 기계장비 등으로 경축순환 및 우분 퇴비 활성화를 위해선 살포비에 대한 지원이 필수라고 한우협회는 강조하고 있다. 또한, 마을형 공동퇴비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돼 있지만 지역의 동의와 살포비에 대한 지원이 없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협에서 퇴비유통전문조직을 지원하고 있으나, 지원이 현실적이지 못하고 살포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참여율이 저조한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 고품질 퇴비를 만들어 공급코자 하는 농가에게는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한우협회의 주장이다. 협회는 고품질 우분 퇴비에 대한 지원과 우분 살포 농가에 대한 살포비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부숙도 검사상 부숙완료 이상의 고품질 우분 퇴비에 대해서는 가축분 퇴비에 지원하고 있는 수준의 지원이 필요하며, 부숙도 기준을 맞춘 영세 및 고령화 된 소규모 농가들에 대한 살포비를 현행 퇴비유통전문조직의 살포비 지원 수준으로 경종농가와 축산농가, 영농조합법인 등에 지원해 우분 퇴비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거래연령도 높아 비육시 과비 따른 손해 우려 송아지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4월 평균 수송아지의 거래가격은 전달대비 10% 상승한 478만3천원으로 집계됐다. 암송아지는 378만4천원의 평균가격을 기록했다. 거래현장에서는 600만원을 훌쩍 넘는 수송아지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한우사육 두수 증가로 인한 가격하락을 우려하면서 선제적 수급조절에 나서고 있는 정부와 한우협회의 입장은 난감할 수 밖에 없다. 번식농가들은 지금같은 시세는 다시 없을 최고의 기회라고 말한다. 한 농가는 “낳기만 하면 큰 수익이 보이는 상황이다. 정부차원에서 말하는 수급조절이 우려되지 않는 바는 아니지만 당장의 수익을 포기할 농가는 현실적으로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과도하게 비싸게 팔리는 수송아지가 자연종부에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솔직히 700만원에 수송아지를 사서 팔면 얼마를 받아야 할까? 최소 1천200만원을 받아야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금의 시세가 유지된다는 보장도 없는데 이처럼 비싸게 소를 사는 것은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적지 않은 농가들이 송아지의 혈통을 보고 농장에서 자연종부용 씨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경남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우량한우(엘리트카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용)에서 조사한 2021년 2/4분기 우량한우 암소 현황에 따르면 경남도에서 보유한 엘리트카우는 총 2506두이며, 보유농가는 1378농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두수로는 전분기 대비 73두, 농가수로는 11농가가 늘어난 것이다. 상승폭이 큰 곳은 경북도다. 경북도는 2천340두, 1천378농가로 1위 경남을 바짝 뒤쫓고 있다. 경북도는 전분기 대비 두수로는 140두, 농가는 67농가가 늘어났다. 엘리트카우 누적두수는 1만1천349두이며, 보유농가는 6천369농가, 전분기 대비 270두, 62농가가 각각 늘어났다. 한종협은 우량암소 중 후대축 도축성적이 2회 이상 우량암소 기준을 충족하면서 2계대 이상이고, 후대축 평균 도체중이 500kg이상, 등심단면적 120㎠이상인 것은 초우량암소로 선정하고 있다. 단위 지자체 중 현재 초우량 암소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북 정읍시로 총 24두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거창군이 19두로 많다. 전국에는 현재 총 269두의 초우량암소가 있다. 한국종축개량협회 김병숙 부장은 “초우량 암소의 경우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백순용 전 교수(성균관대학교)가 지난 8일 별세했다. 1987년부터 성균관대 낙농학과 교수로 교단에 섰고, 이후 송아지 설사병 관련 연구와 후진 양성에 매진해왔다. 교단에서 내려온 이후에도 한우경영자 과정을 개설해 현장 농가들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이어나가기도 했다. 축산업과 함께해온 그의 일생은 120여권의 연구 자료로 남았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올해 5월까지 누적 쇠고기 수입량이 전년대비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농협한우국(국장 윤용섭)이 발표한 한우월간레포트에 따르면 5월에 국내에 들어온 쇠고기 수입량은 냉장 1만699톤과 냉동 2만9천116톤을 포함해 3만9천815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5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17만9천982톤으로 전년 동기 17만422톤보다 9천560톤이 늘어났다. 냉장 쇠고기의 수입량 증가가 두드러진다. 5월까지 냉장쇠고기의 수입량은 전년대비 23.5%가 늘어났지만 냉동쇠고기의 수입량은 0.1%증가에 머물렀다. 국가별로는 미국산이 54.6%, 호주산이 36.9%를 차지하면서 1,2위 자리를 고수했다. 한 전문가는 “한우가격 강세가 수입쇠고기에게도 호재가 되고 있다. 수입업체들 사이에서는 높은 한우가격으로 수입육에 대한 유통마진에 여유가 생겼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수입육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산 쇠고기 시장의 구축을 고민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개체별 능력 감안, 세밀관리 통한 계획 경영 천편일률적 방식 지양…사육방식 고도화돼야 개체별 가치를 높이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전남 영암의 조형일 대표는 한우사육의 방식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한다. 조 대표는 “한우산업이 예전과는 달라 사육방식 또한 고도화 돼야 한다”며 “천편일률적 방식으로는 경쟁력을 가지기 어렵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내 농장의 소를 언제 출하시킬지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어떤 등급을 목표로 할지에 대해서도 생각을 하고 소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개체마다 능력이 다르고, 소의 행동이 모두 다르다. 개체의 능력이나 행동을 감안한 세밀한 관리를 통해 소 한마리의 가치를 극대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계획성 없이 규모를 늘려 수익을 높이려고 하는 농장들은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어려움이 클 수 밖에 없다”며 “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농장일 수록 목표를 분명하게 세우고, 세밀한 관찰을 통해 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관리를 해야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마지막으로 “목표가 있는 농장과 목표가 없는 농장은 결과에서 큰 차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성보축산 조형일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문경약돌축산물명품화사업단이 ‘약돌며느리 삼합세트’를 출시했다.문경약돌며느리 삼합세트는 한우 등심, 채끝, 안심, 업진살에 서해키조개관자(200g), 오미자명이나물(200g)을 포함한 구성이다. 한우를 대신한 돼지고기로 구성된 삼합세트도 판매한다. 사업단은 약돌며느리 삼합세트는 축산물과 해산물의 색다른 조합으로 소비자들 사이에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으로도 사업단은 문경약돌축산물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제철 식재료를 연구하고, 적극적으로 인근 지역 특산물과의 콜라보레이션을 시도해 기획세트로 소비자와 만날 예정이라고 전했다.권용문 문경약돌축산물융복합명품화사업단장은 “지역 농어민들과의 협업으로 선보인 제품들이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타 지역 특산물과의 시너지 효과와 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축산농가소득 증진과 지역특산물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퇴비사 확보 발목 잡는 건폐율 개선 지자체 공공처리장 설치 법제화 필요 가축분뇨 퇴액비 품질 기준강화로 인해 소규모 농가의 경우 가축분뇨 처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소규모 농가의 가축분뇨 처리를 원활히 하기 위해선 지자체 및 농축협 중심의 가축분뇨 처리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한우협회의 주장이다. 퇴비부숙 및 부숙도기준 의무화를 위해 퇴비화 시설 확보가 필요하나 축산현장에서는 건폐율 부족으로 퇴비사 면적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행 건축법령 상 퇴비사는 가설건축물 축조가 가능하나, 벽면재질로 콘크리트는 허용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일반건축물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축종별 가축분뇨가 미치는 영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든 가축이 동일한 기준을 적용받고 있으며, 부숙처리 및 탄소저감을 위해선 정부차원의 지원과 화학비료 감축 등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경축순환을 위해서 양곡 부산물을 축산으로 순환사용이 필요하지만 폐기물관리법에 농업부산물로 등록돼 있고, 자원순환법에도 미곡처리장에서 관할청에 신청 후 순환자원으로 인정받지 않으면 규제 및 처벌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법 개정이 시급하다.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한우고기가 근육세포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되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지난 11일 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김갑돈 교수)가 연구한 ‘한우고기 펩타이드의 근육세포 퇴화 억제 효과 규명’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금번 연구는 한우고기 저장 중에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인 단백질 자가분해로 인해 다양한 펩타이드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펩타이드가 인체 내 소화 및 흡수과정을 거쳐 근육의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추진됐다.노화로 인한 근육 기능의 약화는 근육세포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연구는 이 부분에 집중했다. 실험결과 한우고기 추출물을 급여한 실험체는 근육량의 증가 및 근육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대응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됐다.연구팀은 한우고기는 저장 중 자연적으로 단백질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인해 인체 내에서 소화율을 개선시키고, 근육세포의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분지쇄아미노산의 조성을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우고기의 섭취가 노화로 인한 근감소 예방 및 근육세포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한우자조금은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한우고기가 지닌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출하 11일, 도축은 12일…11월 5일 시상 올해 한우능력평가대회 경매행사가 10월 13일 농협음성축산물공판장에서 치러진다. 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용)와 전국한우협회(회장 김삼주)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24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제1차 추진위원협의회(회장 임관빈)가 지난 10일 농협 안성팜랜드 중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대회추진 일정 등을 확정했다. 올해 대회에는 전국에서 총 255두가 출전등록을 했다. 대회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경매행사는 10월 13일 농협 음성축산물공판장에서 진행키로 했다. 출하는 11일, 도축은 12일 진행된다. 수상농가에 대한 시상은 11월 5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개최키로 했다. 또한, 이날 회의에서는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대회 운영을 위해 대회 육질 2등급 이하 판정 출품농가에 대해서는 차기 대회 참가 신청을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했다. 이재용 회장은 “우리 대회에 참여하시는 농가들은 전국에서 앞서가는 선도농가들이다. 한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농가들의 자발적 노력으로 28년 동안 대회를 이어오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대회가 거듭될 수록 출품축들의 능력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