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식량자급률이 전년(47.5%)보다 2.3%p 상승한 49.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료용 소비를 포함하는 곡물자급률(잠정)은 전년(23.3%p)보다 0.7%p 상승한 24.0%로 집계됐다.
식량자급률은 2011년 이후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곡물자급률은 2009년 이후 계속 하락했으나, 2014년에 처음으로 상승했다.
농축산부에 따르면 2014 양곡연도(2013년 11월∼2014년 10월) 국내 곡물 총 생산량은 483만톤으로 2013 양곡연도(457만8천톤)에 비해 5.5%(25만2천톤) 증가했다.
2014 양곡연도 총 곡물 소비량은 2천9만톤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가정, 학교, 식당 등에서의 밥쌀, 밀가루 소비 등 식량용 소비량은 480만8천톤으로 전년 대비 약 1%(5만1천 톤) 감소한 반면, 가공식품 및 육류 소비 증가 등 식생활 변화로 가공용 소비량은 431만9천 톤으로 전년 대비 1.7%(7만2천톤), 사료용 소비량은 1천38만1천톤으로 전년 대비 3.9%(39만4천톤) 증가했다.
이에 따라 사료용 소비를 포함하지 않는 식량자급률 상승폭(2.2%p)이 곡물자급률 상승폭(0.7%p)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