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협 역량 키우자

 

윤봉중<본지 회장>

 

사상 유례 없는 축산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다. 따라서 축산농가들이 장기간 축산물 가격하락으로 지쳐 있다. 물론 어려운 양축가들이 조합원으로 구성된 축협의 어려움은 이루 형언할 수 없을 것이다.
경제사업이 어려운가 하면 그동안 효자 역할을 하던 신용사업 마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로 인해 2012년 축협의 적자조합이 2개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 4월 말 가결산 때는 22개로 늘어났고, 6월말에는 15개로 다소 줄어들긴 했지만 연말 결산 때는 조합마다 뼈를 깎는 아픔의 결정체가 될 것 같다.
중앙회는 물론 이같은 축산현안을 감안한 조합들이 경영난을 감수하고 조합원들을 돕기 위한 감동적인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한 근이라도 더 팔아 조기에 가격회복을 바라는 각종 행사를 펼치는 모습을 볼 때 과연 이것이 협동조합의 역할이구나 할 정도로 다양한 행사와 사업을 펼치고 있다.
문제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도 꺼야 하지만 여러 가지 극복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점이다. 협동조합도 예외 없이 무한경쟁시대의 동반자임이 틀림없다. 그 한 예로 전문화시대에 단위농협들의 축산사업 확대 참여가 이슈로 제기된지 오래고, 축산불황으로 영세 조합원들의 축산포기는 물론 도시화와 산업화로 축산을 그만둬야 하는 조합원을 비롯해 조합원 숫자가 급속도로 줄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불황이 지나가면 조합원이 급속도로 줄어들 것이 예고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업규모 양축가들의 조합 이탈을 막기 위해 운영기법의 전문화를 서둘 필요가 있는가 하면, 조합원 정수를 현실에 맞게 대폭 하향할 수 있도록 협동조합법을 손질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우려스러운 것은 지난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발효를 계기로 도시와 농촌에서 5인 이상으로 하는 협동조합이 우후죽순 격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불과 7개월 사이에 1천4백여개의 협동조합이 이 법의 보호아래 새로이 탄생했다.
물론 축산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처음에는 사료업체 등과 MOU체결 등을 통해 창립하는 모습이지만 기존 질서에 반하는 세력들이 자구책으로 이 협동조합 창립에 동참할 경우 불량 협동조합이 양산되어 질서 파괴는 물론 농촌사회에 큰 파장을 가져올 수도 있다.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마련된 이 기본법에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도 협동조합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어 지자체가 마음만 먹으면 코드가 맞는 상대에게 지원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하기 때문에 협동조합을 잘 모르는 사람도 지자체의 지원 유혹에 따라 쉽게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결국 이것이 경우에 따라서는 축산발전에 함정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 경계의 대상이다.
이외에도 기존 협동조합 질서를 왜곡하는 요인들이 많다. 따라서 축협들도 시대변화를 읽고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축협들이 건전하게 발전하면 지자체나 중앙정부가 하는 일도 쉬워진다. 정부의 기구나 인력 확충이 어려우면 협동조합에 업무를 대폭 이양하도록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축협의 역량을 한층 더 키워야 한다.
축산인들을 축협이 주도하는 협동조합으로 규합할 수 있는 창의적인 지도력과 사업역량을 배가함은 물론 조합원들의 균열요인을 불식하는데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이밖에도 중앙회와 회원조합 할 것 없이 축산 내부에 잠재된 사소한 감정요인들을 극복하고 하나로 뭉쳐 급변하는 세태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