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의회는 FMD 및 AI로 침체에 빠져있는 지자체 축산관련 기관과 국립축산과학원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가축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관리 강화 및 상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향후 우리나라 고유의 가축유전자원의 복원 및 종족보존 방안은 물론 가축유전자원의 국가관리 등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어졌다. 협의회에서는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 및 서울대학교 등 11개 가축유전자원 관리기관의 2010년 주요결과 및 2011년 사업계획이 발표됐다. 또한, 각 기관 간 가축유전자원의 효율적 관리에 대해서 심도있는 협의가 이뤄졌다. 이날 합의된 내용은 지자체 축산관련 연구기관의 역할 정립과 위상확보 및 정보교환을 위해 축산관련 중앙기관과 지자체 축산기관 사이에서 축산원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축산원-도 축산관련 기관과의 협의회를 정례화 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고 축산농가가 필요로 하는 공동 연구사업의 추진과 연구 아이템을 개발하고 주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기술적 교류와 공동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또한, 농업소득에서 축산의 비중은 높으나, 상대적으로 위상이 낮음에 따른 축산관련 모든 기관, 단체, 농가 등이 협력해 축산의 위상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국립축산과학원 장원경 원장은 “ FMD 및 A I상황이 호전되며, 가축유전자원에 대한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국립축산과학원과 지자체 가축유전자원 관리기관과의 업무협의회는 시의 적절하며 이를 정례화 하겠다”고 말하고, “우리나라 가축유전자원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지키며, 보존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기관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