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인환 명예교수(건국대학교)
지난해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자 총회에서 문 대통령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소하겠다고 했다. 원래 계획은 2018년 대비 26.3%이었는데 상향 조정했고, 2050년까지 제로(0)로 하겠다는 목표이다. 산업계에서는 감당하지 못할 생색내기 수치라는 비난이 잇따랐다. 그동안 기후변화에 대처하여야 한다고 떠들썩했다. 그런데 이제는 탄소중립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등장했다. 이건 또 뭔가 하실 분이 계실 것이다. 내용면으로 보면 같은 얘기다. 기후변화에선 그 원인이 되는 물질의 배출을 줄이자는 것이고, 탄소중립에서는 그중 대표되는 물질, 즉 탄소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특정 연도와 비교해서 그 이상 초과 배출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니 결국 같은 내용이다. 축산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주된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₂), 아산화질소(N₂O), 메탄가스(CH₄) 등이다.
축산분야에서는 크게 가축사육과정과 가축분뇨처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로 구분할 수 있다. 가축사육에서는 특히 반추가축인 소의 장내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줄일 필요가 있다. 연구에 의하면 고능력우는 단위생산량 당 가스발생이 적기 때문에 가축의 생산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와 사육기술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보고에 의하면 해조류를 급여하면 메탄을 80% 이상 감축한다고 한다. 메탄가스저감 사료 및 단백질 감소사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가축분뇨처리방법에서는 기존의 자원화방식에서 호기성처리를 주로 했는데, 이것을 혐기발효방식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호기성처리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폭기단계에서 관련성분들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혐기성소화에서는 메탄가스를 생산하며, 그것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대기 중으로 나가는 가스를 원천적으로 봉쇄한다. 그러나 이 시스템에서 가축분뇨만으로는 가스생산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유기성폐기물의 투입이 필요하다. 최근에 그 비율을 늘린 것은 잘한 일이다. 또한 공동자원화는 규모가 큰 관계로 주위의 가축분뇨까지도 수집하기 때문에 이웃주민들의 반대가 심했다. 때문에 2009년에서 2020년까지의 설치계획 중 실적은 겨우 8%에 불과하다. 따라서 개별 축산농가라 해도 규모가 어느 정도 되어 경제성에 문제가 없다면 문호를 열어줄 필요가 있다. 또한 분뇨의 저장, 살포과정에서도 온실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깔짚으로 고형분 처리하여 퇴비를 만드는 경우에는 아산화질소의 발생에 유의해야 한다.
FAO는 2019년에 저탄소 축산을 위한 실현가능 행동으로 대체육/단백질도 꼽고 있다. 대체육 얘기는 약 20년 전에도 나온 적이 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의 식문화를 바꾼다는 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고 잠잠해졌다. 소수 비건(채식주의자)의 메뉴정도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대체육을 장려하면 고기의 소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가축사육마리수를 줄여야 한다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동물성 단백질에만 있는 필수 아미노산을 식물성 단백질이 대체할 수는 없다. 대체육은 아직 식감의 문제도 안고 있다. 그리고 제조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농작물과 물을 소비하여 환경파괴 및 탄소발자국을 남긴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서두에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과 탄소중립은 동일선상에 있다고 했다. 이 문제에서 선두주자격인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자. 독일은 기후변화 얘기가 나오던 1990년부터 매년 온실가스 발생량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1990년을 기준으로 메탄가스는 장내 소화에서 10년 후(2000년)에 21.8%, 26년 후인 2016년에는 약 29.6%, 분뇨처리과정에서 10년 후 11%, 2016년에는 23.9%가 감소했다. 가축분뇨의 유기질비료 이용에서는 10년 후 아산화질소(N₂O)는 19.3%, 2016년에는 25.7%%가 감소했다. 그리고 2020년까지 40%를 감소할 계획이다. 앞선 수치는 기준년도 대비 10년 후와 26년 후의 수치이며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사려되어 소개했다.
후발주자인 우리 정부는 압박감을 느낄 수도 또는 욕심을 낼 수도 있다. 그렇다고 무리하게 추진해서도 안 될 것이다. 계획으로는 12년(2018~2030)만에 40%를 달성한다고 하는데 과연 가능할까 하는 의구심이 생긴다. 앞선 독일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9%, 축산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1.29%라고 한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저감하기 위한 가능성은 매우 다양하다. 그동안 해온 방식을 점검하고 개선할 점을 찾아서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책의 유연성이 필요하고, 온실가스 저감대책의 개발, 적용, 그리고 확대가 필요하다. 가축분뇨 처리방법 별 온실가스가 얼마나 발생하는지도 규명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위한 연구비 확보도 매우 중요하다. 축산 및 자원화 현장의 탄소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는 목표달성을 위한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