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축산환경시설기계협과 공동브랜드 인증 업무협정 4개 기업 공동마케팅…올 20여 곳 추가인증 신청 해외 판매망 공유…2027년 수출 1천억원 정조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 수출전략회의에서 스마트팜을 수출유망산업으로 지정하고, 체계적인 수출활성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수출진흥과 외 별로도 스마트팜수출을 전담지원하는 ‘농산업수출지원과’를 독립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조직을 개편했으며, 농식품부 등 8개 기관이 참여하는 ‘스마트농업수출지원단’을 발족시켰다. 또한, 지난 6월 30일에는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국회 상정·의결됐다. 국내 제한적 시장규모 탈피 ‘해외로’ 민간부문에서는 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회장 송석찬)에서 2001년 중국 안산시에서 열린 ‘한중농축산기술교류회’ 전시를 통해 중국 시장을 노크했으며 이어 2004년 ‘중국장춘박람회 한국관’ 전시회를 시작으로 2022년 ‘축산 스마트팜 K-farm 페어’까지 지속적으로 국내외 전시회를 운영해 오고 있다. 그간 축종별, 업체별 해외 바이오를 통해 소규모 수출을 시도했으나 수출 대상국에 대한 정보 미비와 업체의 영세성, 제품의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대동(대표이사 김준식·원유현)은 ▲스마트 농기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팜 등의 3대 미래사업의 핵심 경쟁력과 추진 속도를 높이기 위해 6개 직군, 39개 직무에서 신입사원을 최대 45명 채용하는 하반기 1차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 입사지원은 홈페이지를 통해 23일까지 접수 받는다. 서류전형 합격자는 27일~28일에 발표하며 내부 사정으로 일정이 연기될 수도 있다. 서류심사·실무면접·임원면접 절차로 채용이 진행된다. 각 분야별 보다 자세한 자격요건과 직무 등은 대동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TYM(대표 김희용·김도훈)은 올해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이달 1일부터 2년 동안 2회 무상 방문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로써 TYM 고객은 전문가가 농가로 직접 찾아가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해당 서비스는 별도 프로모션을 시행하는 존디어 트랙터를 제외한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이 모두 포함된다. TYM은 이를 통해 농번기 돌발적인 농기계 고장으로 인한 불편과 서비스 대기 시간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엔진오일과 필터 등 소모성 부품 무상 교체와 최대 37가지 점검, 정비 항목 등을 구성해 서비스 완성도를 높인다. 이번 ‘찾아가는 서비스’ 프로모션은 기존의 무상 순회 점검 서비스의 데이터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고도화했다. TYM은 고객의 목소리를 현장에서 직접 수렴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마련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대동(공동대표 김준식·원유현)이 이달 28일까지 8개도, 50개 지역을 선정해 ‘찾아가는 고객 감동 무상 서비스’를 진행한다. 대상 기종은 대동이 생산 판매한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이다. 기본적인 작동 점검, 오일류, 필터류, 소모성 부품 교체 등을 서비스한다. 공임비와 5만원 미만 부품비는 대동이 전액 부담한다. 이와 함께 프리미엄&하이엔드 트랙터인 HX1300, HX1400을 올해 구매 고객에 한해 자택 방문 서비스를 마련했다. 총 12가지 필수항목을 점검하고, 공임비는 대동이 부담한다. 단품 구매보다 최대 11% 저렴한 트랙터 엔진 필터 키트도 이달부터 본격 판매한다. 키트는 엔진오일필터, 유압필터, 에어필터, 외기필터 등으로 구성돼 있다. 유장영 대동 부품서비스사업본부장은 “서비스 컴퍼니를 표방하는 농기계 1위 기업답게 다양한 서비스 정책과 프로그램을 지속 도입 운영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고객과 함께하는 성장’이라는 슬로건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는 Y.S인터내셔날(대표 유신). 세계적으로 기후이상 변화로 조사료 부족 문제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고품질 조사료 자급화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조사료 생산 장비 공급에 노력하는 Y.S인터내셔날은 ‘고객만족실현, 고객감동 실현, 생활가치 향상, 열정과 에너지’의 경영이념을 가지고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경쟁사보다 먼저 고객 가까이서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세계 각 지역별 지부의 협력사를 통한 더욱 탄탄한 교류와 정보 협력을 통하여 국내에 필요한 조사료 생산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옥수수 파종기 (VCS-2, VCS-4, VCS-6 쿨터·더블 디스크 타입) 작물별 파종 길이·간격 조절 가능 종자 손실 최소화로 수확량 극대 옥수수 및 콩, 극동 6호 파종 때 낙종판 교환으로 파종 길이와 파종 간격의 조절이 모두 가능하며 파종과 동시에 시비 등 다용도 작업을 할 수 있다. 파종할 종자 입자를 계산하고 크기를 조정하는 장치인 쿨터 타입(Coulter Type)과 디스크가 평행한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더블 디스크 타입(Double Disk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1993년 설립, 창립 30주년을 맞은 조사료 생산 장비 선두 주자인 (주)라이브맥(대표 김병관)이 조사료 생산에서 배합 및 급이까지 사용되는 기계와 설비를 국산화 시스템화로 주목받고 있다. ISO9001과 INNOBIZ 인증받은 조사료 관련 제조 우수업체로 인정받고 있는 라이브맥은 2004년 기업부설 연구소의 설립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 및 노력으로 대한민국의 지형 및 작물에 적합한 조사료 생산 장비 국산화의 선두 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새롭게 공급되는 조사료 장비로는 한 대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대형베일러 (L331), 자주식 베일러(C30 magic), 베일 래핑기(Ez-WRAP 940), 멀티파머(Multifarmer) 트랙터 베일 래핑 복합기(L315 magic), 집초기, 사료작물 수확기, 자주식 퇴비 살포기 등으로 독자 기술로 개발해 생산 국내 및 해외에도 수출하고 있다. 대형 베일러 (L331) 4년간 공들여 개발한 야심작 작업 효율성 높고 가성비 ‘갑’ 원형 베일러 L331은 4년의 개발 기간을 통해 완성한 라이브맥의 2세대 베일러로 작업자의 안전성, 편의성,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정비성도 쉽게 하여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남도(대표 하명신)는 2010년 조사료장비 기초 설계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품질혁신으로 사각압축포장기, 랩핑베일러복합기, 조사료급이기, 승용 사료 청소차, 옥수수 베일러를 국산화했다. 개발과정에서 터득한 관련된 유압 제어기술, 전자컨트롤 제어기술까지 HMI(Human Machine Interface) 연구개발해 조사료 생산기계 및 설비사업분야, 활용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 이동식 퇴비 포장기 ND700T를 선보였다. 사각 압축 베일 포장기(고정식) 네트없이 고압축 사각랩핑 결속 다단적재 가능해 보관·운반 용이 사각압축베일포장기는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기계로서 제품은 옥수수 사일리지, TMR(F) 사료, 축분 퇴비, 톱밥, 폐기물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고압축 사각 형태라 적재면적이 작고 다단 적재가 가능해 저장과 운반할 때 편리하다. TMR(F)사료 및 조사료를 사각으로 압축해 베일링하면서 랩핑까지 동시에 작업 가능한 제품으로 기존의 원형베일러에서 작업을 할 수 없는 품목(자연 순환형 퇴비, 톱밥, 콩비지, 발효용 부산물)도 작업이 가능하다. 랩 결속장치 장착으로 네트없이 랩으로만 결속 가능해 급이시 별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액비분석기, 3분 이내로 고속 분석…콤펙트화로 이용성 UP 부숙도측정기, 액비 색도·가스 농도 지표화해 빠르게 판정 코리아스펙트랄프로덕츠(대표 이창석)는 2003년에 설립, 올해로 20주년을 맞아 국산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유수의 반도체 메이커에게 분광 센서를 공급해오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분광계를 직접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광학, 전자, 기계, 소프트웨어의 독자적인 원천기술 확보로 개발 및 제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반도체, 환경, 물리, 화학, 생물학 분야 등 제조공정 및 연구용 장비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적외선 기반 분광 센서는 코리아스펙트랄프로덕츠가 상용화에 성공한 국내 유일 업체로 알려져 있다. 코리아스펙트랄프로덕츠는 끊임없는 연구 개발과 기술 적용 능력을 활용해 축산분야에는 액비 성분 분석기, 액비 부숙 측정기를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사료 성분 분석기도 개발하여 공급 채비를 갖추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과의 다년간의 공동연구 노력 끝에 근적외선 기반의 분광 광도계에 기계학습을 도입해 세계 최초로 가축분뇨 성분 질소, 인산, 칼리 분석을 1~3분 내 분석할 수 있는 액비 성분 분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축분뇨, 발효 액비화…각 슬러리피트로 연속 순환방식 고착슬러리·복합적 냄새 제거…비용 절감·안정적 효과 악취방지법 제정 후에도 전국 각지에서의 축산냄새 민원이 42%로 가장 높아 이로 인한 축산의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축산냄새를 줄이고 축산 농가의 수익을 향상시키는 대안으로 다양한 방법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2050탄소중립(Net-Zoro)저탄소 줄이기와 2030NDC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2018년 대비 27.5%를 줄인다는 정책 방향을 세워놓고 있다. 이에 충청환경기술(주)(대표 최명환)는 축산농가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한 다양한 냄새저감을 위한 방법을 찾아 보급하고 있다. 충청환경기술은 2011년 수질환경전문공사업등록, 2009년 가축분뇨처리시설 및 관련기술평가 등록으로 공동시설규모와 개인하수처리시설, 가축분뇨처리시설을 하고 있는 축산환경 개선에 대한 다양한 전문기술을 보유한 업체로 축분 에너지 바이오매스와 냄새저감을 위한 액비순환시스템, 정화방류 시스템을 농가와 공동자원화 시설 전문 업체로 알려져 있다. 충청환경기술 액비순환시스템의 장점은 돈사에서 발생하는 냄새 저감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시스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원균 공급받아 농장서 직접 미생물 자가 증폭 배양 냄새·부숙 고민 해방…가축 면역 강화·육질 개선도 축산환경과 냄새로 인한 민원이 축산인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만들어지자 수의사가 개발한 미생물제제 ‘다모아’에 사용 농가 중심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경진 수의사는 한국부제병연구소 대표로 수의사로서는 최초로 한육우사에 퇴액비 부숙을 촉진하는 ‘다모아’를 개발했다. ‘다모아’ 미생물은 부제병연구소에서 원균을 분양받아 농가에서 직접 배양하여 미생물을 가축에게 급여하는 자가 증폭 배양 방법으로 기존 미새물 제제 공급과 다르다. 미생물을 공급하고 있는 이경진 수의사는 농가의 편익을 위해 국내 배양기 선두주자인 (주)한국바이오닉스(대표 허상엽)와 연구 개발한 다모아 전용 미생물 배양기를 특허품 출원하고 배양기도 공급하고 있다. ‘다모아’ 전용 미생물 배양기는 한우 200두를 공급할 수 있는 미생물 100리터를 증폭시키는 비용이 흑설탕 1kg(1천800원)과 증폭촉진제(300원)로 일일 소요량은 전기료 0.8kw 의 비용을 포함 2천500원이다. ‘다모아’는 이경진 수의사가 배합한 미생물로 냄새를 없애주는 균과 소화 흡수를 도와주는 유산균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톱밥 대체 자원재활용 원료, 수분조절·부숙 촉진 암모니아가스 이온화 흡착…유해 미생물 억제도 냄새는 주변사람들에게 피해를 줌으로써 민원의 대상이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냄새를 최소화하면서 친환경적으로 가축을 사육할 수 있을까가 늘 고민이다. 이에 다나농업회사법인(대표 천범철)에서 계사, 마사, 양돈장의 축분 처리장, 우사의 깔짚 용으로 공급하는 ‘다나 기능성 깔개’가 자원재활용 차원에서 톱밥 대체와 축사의 냄새를 해결할 수 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인기가 높다. ‘다나 기능성 깔개’는 피트(PEAT), 제올라이트(ZEOLITE), 방사선류의 스트렙토마이시스(Streptomyces)를 혼합한 혼합제로 축분 부숙 조절 및 수분 조절제 효과를 통해 가축 분뇨 냄새와 방선균에 의한 유해 미생물을 억제한다. 우사, 계사, 마방, 돈 분 처리장 등으로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피트모스 = 피트모스는 피트(peat:이탄,토탄)와 모스(moss:이끼)의 합성어로 수 천년에 걸쳐 늪지대의 이끼가 퇴적 후 부숙이 일어나 마치 흙처럼 된 것으로 Ph가 약 3~5 정도의 중산성 물질로 무게 대비 최대 20배 물 흡수능력과 알갱이 사이사이 공간이 많아 통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K-FARM 수출사업단’이 최근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China Animal Husbandry Expo 2023’에 중국 현지사인 텐진 삼우법인과 함께 참가해 한국 축산 ICT 기술을 홍보<사진>했다. ‘K-FARM 수출사업단’은 이번 전시회에서 양돈 자동급이기, 환경관리기, 생산관리 프로그램 등을 적극 알렸다. ‘K-FARM’은 대한민국 축산분야 스마트팜 수출 브랜드다. 지난 2020년부터 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회장 송석찬)와 호현에프앤씨(대표 이성호) 등 양돈 ICT 관련 기업들이 공동 수행하고 있는 ‘양돈 ICT 기자재 해외 실증 및 수출 전략 모델 개발’ 프로젝트 참여업체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해외시장 조사, 제품개발 및 고도화 지원, 수출 자립역량 강화 등 축산분야 ICT 기자재 관련 업체들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양계, 축우 등 전체 축종으로 확대해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