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과 농협중앙회 축산경제가 소통강화를 위해 지난달 26일 축산정책간담회<사진>를 가졌다. 간담회는 농협본관 중회의실에서 진행됐다. 농협주관으로 처음으로 농협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는 정부에서 이천일 축산정책국장과 이상만 축산정책과장, 김종구 축산경영과장 등이 참석했다. 농협에선 남인식 상무와 김태환 상무, 부서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팀장이상 간부들이 배석했다. 간담회에서 오간 주요내용을 정리했다.
이천일 국장, 간담회서 밝혀
“축산은행 아이디어 우수”
할랄시장 진출 농협역할 주문
이천일 국장은 “경제사업 잘되게 챙겨보라”는 장관 지시를 소개하며 “가축질병이 있어도 일상적으로 챙겨야 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간담회를 마련하게 됐다. 내년 예산편성을 생각해볼 시기가 다가온다. 서로 잘 모르는 업무를 공유하자. 소통이 중요하다. 배운다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농협이 설명한 ‘젊은이가 돌아오는 축산현장’, 즉 후계인력 육성과 관련해 이 국장은 “현장에서 실천됐으면 좋겠다. 질병문제도 영세한 시설에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후계자가 없는 농장에선 굳이 축사시설 현대화에 대한 필요성을 못 느낄 것 같다. 귀농과 귀촌 증가는 경제난을 반증하는 것이다. 농업, 축산이 취업난 속에서 인력고용의 범퍼 역할이 가능할 것이다. 신규인력이 들어오는 것만큼 중요한게 농장을 물려받는 것이다. 후계농 육성과 시설현대화를 쪼갤 수 있는 방안이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 국장은 축사은행의 경우 아이디어가 좋다며 사업화의 필요성은 고민해보자고 했다.
김태환 상무는 “정책은 단발성 보다 종합적인 접근해야 한다. 정부의 기존정책과 매칭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폐업농가의 시설에선 5년 동안 소를 못 키우게 하는데 축사은행을 하려면 선결해야 할 과제”라고 했다.
김종구 과장은 “축협이 지향하는 목표가 복합농이 아닌 가족농이라면 앞으로 구조조정이 더 돼야 한다는 얘기다. 일본처럼 10년 경험 쌓고 창업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농협이 큰 결심을 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좀 더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상만 과장은 “축산농가 급감이 문제라고 하는데 축산의 파이가 줄지 않았다면 그 만큼 전업화된 것이다. 영세농가 복지차원인지 궁금하다. 일단 고민해보자”고 했다.
할랄도 화두로 올랐다. 이천일 국장은 “국내 할랄시장이 적지 않다. 수출까지 고려하면 상당한 시장”이라며 농협의 역할을 주문했다. 농협 관계자들은 경제성과 동물복지 등을 감안해 할랄도축장 등을 충분히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하며 정부의 재정지원을 요청했다.
축사시설현대화에 대해 안병우 축산컨설팅부장은 “제한적으로 증축도 현대화 대상에 포함시키고, HACCP 인증을 위한 시설보강도 지원대상이 돼야 한다”고 건의했다. 신동렬 축산자원국장은 “산지축산의 경우 인큐베이팅이 필요한 사업이다. 3~5년 정도 운전자금 지원이 선행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남인식 상무는 “축산종사자에 대한 방역교육은 농협이 담당하고 있다.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교육에 대해 정부가 방향을 잡아 달라”고 했다.
경제사업 활성화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농축산부 관계자들은 “경제사업 활성화의 핵심은 유통이다. 주사위는 던져졌는데 어떻게 실행할지, 보고서를 봐도 평가나 방법론에 의문이 생긴다. 경제사업에 투자해 5년 안에 어떻게 수익창출을 하고 활성화시킬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농협 관계자들은 “지배구조와 의사결정체계, 가격결정체계, 판매방식문제 등 소프트웨어가 아직 아무 것도 없는 실정이다. 사실 하드웨어만 있는 상태에서 패커 육성을 추진해왔다. 이제 내부적으로 보완해 나갈 방침”이라고 했다.
이천일 국장은 간담회를 마무리하면서 “농협에 와서 처음 해본다. 어떻게 진행될지 의문을 갖고 왔는데 상당히 좋은 자리로 확인됐다. 다음에는 축종 등 분야를 쪼개서 자주 가졌으면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