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급식 제도화·K-MILK인증 사업 실시
낙농산업 인식 개선·중요성 알리기 주력
“지난 1년 바쁘게 보냈지만 여전히 할 일은 많다.”
낙농육우협회 손정렬 회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서초동 소재 한식당 정일품에서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손 회장은 “지난 1년을 원유가격연동제 첫 시행, 우유가격 인상에 따른 단체급식 예산 증액, 원유가격 산정체계 개선, 육우산업 안정화 대책, 낙농진흥회 연간총량제 상한선 폐지, 인수도 회수율 조정 등을 해결하며 바쁘게 보냈다. 하지만 여전히 낙농산업은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세계 각국과의 연이은 FTA를 비롯해 지난해 처음 도입된 원유가격연동제의 정착 문제, 학교우유급식 제도화, 육우산업 안정화, 낙농환경 대책관련 등의 현안이 산적해 있다. 어느 한 분야 소홀할 수 없기에 협회는 각 분야에 대한 적절하고 효율적인 업무분장을 통해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개방화에 따른 우유자급율 하락에 대해서는 제도적인 우유소비 확대를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학교우유급식 제도화와 군 우유 급식확대, 경찰병력 우유급식 실시 등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에 대해서는 끈질기게 요구하면서 관철시켜 나갈 것이다. 아울러 국산유제품 생산 확대를 위해 K-MILK인증 사업을 추진하고, 대중국 수출지원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산 조사료 등급제 실시와 간척지, 하천부지 등 유휴부지를 활용한 조사료 재배 확대를 통한 국내산 조사료 확대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무허가 축사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상당부분 현장의 의견을 반영시켰으며, 낙농현실이 더욱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아울러 “국민 1인당 유제품 소비량이 이미 쌀을 앞질렀고, 국제유제품가격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낙농산업의 유지 발전은 단순한 낙농유업계의 문제가 아닌 국민 건강증진 및 식생활과 관련된 산업이라는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협회는 이런 산업의 중요성을 대내외적으로 알리는데 주력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낙농산업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닦아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