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화 따른 활동 위축…산업발전 둔화 우려”
“본래취지 맞는 역할 집중…전문성 되레 강화”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에 강성기씨가 단독 후보로 선출됐다. 이에 대한 내부의 목소리는 우려와 기대로 갈리고 있다.
일부 농가들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과 협회장이 분리로 인해 한우협회의 활동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게 될 것이 우려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남 논산의 문교학씨는 “한우협회가 한우자조금 출범에 산파역할을 했다. 당연히 한우협회장이 자조금 관리위원장을 겸직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한우자조금 출범으로 한우협회장과 한우자조금 관리위원장의 분리되면 한우협회의 활동이 위축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관리위원장과 협회장의 분리로 인해 협회가 협회 본연의 활동에 더욱 충실하게 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경기도 파주의 황인식씨는 “한우자조금의 본래 취지는 소비활성화를 통해 한우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한우협회의 활동이 다양해 질 수 있었던 것에는 분명 한우자조금의 역할이 있었지만 그 때문에 한우협회 본연의 색을 잃어버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며 “이번 기회에 협회가 생산자 조직 본연으로의 활동에 더욱 집중 할 수 있고, 한우자조금 역시 좀 더 전문성을 갖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