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계는 지금 특별방역대책기간을 맞아 악성가축질병과 소리 없는 전쟁 중이다. 2023년 1월 30일 기준 고병원성 AI 확진은 63건(H5N1)이다. 8개도 36개 시군에서 발생(63농가 381만7천300수)했다. 전년 동절기(2021년 10월~2022년 4월)의 47건(497만7천수)에 비해 마릿수는 적지만 확진 건수는 많아졌다. 다행히 1월 12일 평택지역 확진(육계) 이후 잘 막아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도 방심은 금물이다. 이번 동절기에만 121농가에서 583만4천수를 살처분했다. 전년 동절기 80농가, 711만1천수와 비교하면 살처분 농가는 151.3%, 살처분 비율은 82% 수준을 보였다. 야생 조류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것도 151건에 달한다. 여전히 AI 방역의 고삐를 놓아선 안 되는 이유이다. 환경부는 1월 국내에 유입된 겨울 철새가 지난해 12월 대비 11% 정도 감소했다고 한다. 그러나 겨울 철새가 북상하는 2~3월까지는 가금농가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도 절대 안심할 수 없다.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에도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2019년 이후 ASF는 사육돼지 31건, 야생멧돼지 2천797건이 확진됐다. 문제는 광범위한 지역의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검출되고, 2023년 들어서 사육돼지에서도 3건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가장 최근에는 설날인 지난 1월 22일 김포에서 확진됐다.
방역에는 금도가 없다. 오로지 축산농가 스스로 자신의 농장을 지켜내겠다는 강력한 의지만 있을 뿐이다. 모든 축산농가가 악성가축질병의 굴레에 빠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는 시기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