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11일 이틀동안 열린 ‘서울대 축산 70주년 기념행사’에서 김기용 회장(애그리브랜드 퓨리나코리아·카길코리아)이 축산업의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김 회장이 이날 발표한 내용을 정리, 독자들의 참고자료로 제공 하고자 한다. 오늘 발표는 축산업의 국내 농업에서의 위상과 최근 축산업 이슈, 축산업 기술 발전 및 성적 변화와 함께 각 축종별로 해당 산업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도전과제이다. ■국내 농업 부문에서의 축산업의 위상.한국 경제는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꾸준히 성장을 거듭해 왔다. 작년에는 국민 1인당 GDP가 1만8천달러에 이르렀고 곧 2만달러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관련된 외환보유고나 주가지수등 경제지표를 볼 때 매우 안정적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축산업의 총생산액은 전체 농업경제 속에서 30%를 차지하는 약 11조원의 생산액을 보여주고 있으며 농업 생산 5대 품목에 소, 돼지고기와 우유, 계란이 포함되는 것을 보더라도 농업부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보겠다. 일인당 육류 소비량도 현재 33Kg으로서 OECD국가들과 비교 할 때 전반적인 육류 소비량이 많이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특히
한미FTA협상이 타결되기까지 나라 안 분위기는 농업계를 제외하곤 온통 FTA 예찬으로 물결쳤다. 협상타결에 올인 한 정부나 그에 따른 논리를 뒷받침했던 국책연구기관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세상의 눈이며, 창(窓)인 언론은 유력언론일수록 예찬론이 차고 넘쳤고,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저명인사들도 저마다 경쟁적으로 FTA 협상의 당위성을 설파하느라 열을 올렸다. FTA 예찬에는 경제적 잣대만이 존재한다. 무역의존도가 높은데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낀 ‘대한민국호(號)’가 먹고 살기 위해서는 한미FTA가 최선의 선택이라는 논리다. 심지어 소원해졌던 한미 동맹관계가 이를 계기로 더욱 공고해진다는 논리까지 등장했다.FTA가 한국경제에 기회가 될 것이라는 ‘예찬론’의 중심에 선 사람들은 비준저지투쟁을 외치는 농축산업계의 반대 목소리에 “농업도 산업인 한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고 불가피성을 내세운다. 한술 더 떠 “케케묵은 식량안보론을 들먹이지 말라”며 으름장을 놓기도 한다. 나라전체가 마치 집단최면에라도 걸린 것 같은 이런 분위기에서 농축산업이 설 땅은 좁아도 너무 좁다.국제경쟁력이라는 경제적 잣대로만 보면 지구상에서 농축산업을 영위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임수진 한국농촌공사장은 지난 13일 취임식에서 “21세기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추진 주체로 한국농촌공사를 새롭게 변화시키겠다”고 강조했다.임 사장은 이를 위해 사업에 대한 종합적 진단을 통해 축소할 것은 과감히 축소하고 확대해야 할 부분은 사업역량을 집중하는 ‘선택과 집중’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또 농촌개발, 농업생산기반 조성정비와 유지관리, 농업 경쟁력 강화를 3대 축으로 하는 공사의 사업과 기능을 재편하겠다고 말했다.아울러 효율성과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분권형 책임경영제를 확대하는 등 경영체질 개선과 함께 농업과 농업인 그리고 농촌 발전을 위한 공익 추구와 사회적 윤리경영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