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소 부산물 수의계약 판매 보도, 사실과 달라”

농협축산경제, 방송보도 대응 해명자료 배포

[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입찰방식 주류…수의계약 만료시 입찰 전환
수의계약도 위원회서 실제거래가 감안 책정

 

부산물 대부분을 수의계약으로 팔아 축산농가가 제 값을 못 받고 있다는 방송 보도에 대해 농협이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하고 나섰다.
농협축산경제(대표 김태환)는 지난 17일 자료배포를 통해 “농협축산물공판장에선 입찰이 성립되지 않거나 물량이 적어 입찰판매가 어려울 경우에 한정해 부산물 판매에 수의계약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16일 KBS뉴스는 농협이 부산물 대부분을 수의계약으로 판매해 축산농가가 제 값을 못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농협은 방송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며 수의계약으로 판매하는 경우에도 최종가격은 출하자 대표(농가), 유통업체,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부산물가격사정위원회(10명)’에서 전국 도매시장가격과 다른 공판장 가격을 반영해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협은 또 현재 24개 품목 중 14개 품목(60%)의 부산물은 입찰 판매하고 있고, 입찰에서 제외돼 있는 품목의 경우에도 현재의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즉시 입찰판매 전환이라는 원칙을 세워 놓고 있다고 밝혔다.
농협은 향후 입찰방식 추진에서는 투기성 입찰, 인수기피로 인한 공판장 마비 등 입찰의 역기능에 대한 개선방안도 동시에 고려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국한우협회는 농협중앙회가 운영 중인 축산물공판장에서 부산물 전체를 경쟁 입찰 방식으로 판매할 것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
그러나 실제 판매되고 있는 가격을 보면 경쟁 입찰이 무조건 농가에게 유리한 것만은 아니라는 인식도 적지 않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음성공판장에서 판매된 소 부산물을 보면 입찰과 수의계약 방식을 병행한 ‘두’의 경우 5만5천170원이었다. 지육구매자에게 판매한 ‘족’의 경우에는 2만2천950원이었다. 역시 입찰과 수의판매가 병행된 ‘내장’은 7만3천820원, 경쟁 입찰한 ‘원피’는 7만원, ‘혈’은 710원, 수의 계약한 ‘지방’은 5천170원이었다. 음성공판장 소 두당 부산물 판매금액은 22만7천820원이었다. 같은 시기 수의계약과 경쟁 입찰이 병행된 부천공판장에선 두당 22만9천400원에 소 부산물이 판매됐다.
전량 수의계약 방식으로 소 부산물을 판매한 일반도매시장 보다 가격이 월등히 좋았다. 지난해 9월 기준 수도권에 소재한 A사의 경우 두당 소 부산물 판매가격은 20만4천905원, B사는 19만5천786원, C사는 19만4천원이었다. 물론 이들 도매시장에선 품목에 따라 농협보다 판매가격이 높은 것도 있었다. A사의 경우 ‘우족’이 2만4천190원으로 음성공판장 2만2천950원 보다 높게 받았다. ‘원피’도 7만5천원으로 경쟁 입찰한 음성공판장의 7만원 보다 높았다. 두당 소 부산물 전체 판매금액은 음성이나 부천공판장이 더 받았지만 품목에 따라선 수의계약을 한 일반도매시장이 높게 받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