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우유자조금, 외산 멸균유와 차별성 홍보 박차
국산우유 위생등급 지표가 매년 향상되며 세계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2024년도 상반기 원유 검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집유된 원유의 위생 등급 내역에서 체세포 수 1등급의 비율은 71.88%로 2023년 대비 0.75%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체세포 수에서 1등급을 받은 국산 원유 비중은 ▲2022년 상반기 67.90% ▲2023년 상반기 71.13% ▲2024년 상반기 71.88%로 꾸준히 향상하고 있으며, 세균 수 1등급의 비율은 99.62%로 전년과 비슷한 수치로 이 등급은 낙농선진국으로 불리는 덴마크와 동일하며 여타 해외 나라들과 견주어도 더욱 뛰어난 성적이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국내 목장은 단순한 생산 공간을 넘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첨단 낙농 시설로 자리 잡았으며, 낙농가는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통해 젖소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해 우유의 품질을 극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장기 보관이 가능한 외산 멸균유와 달리 국산 신선우유는 우유 본연의 영양소를 최대한 보존하며, 신선한 맛을 유지하고 있으며 철저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거친 1등급 원유만을 사용해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우유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
이를 바탕으로 우유자조금은 국내 낙농업계가 세계적인 수준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신선한 우유를 공급하고 있음을 다양한 홍보사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알림으로써 외산 멸균유 공세에 대응하고 있다.
우유자조금 관계자는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건강한 젖소, 철저한 품질 관리 시스템으로 생산된 1등급 원유, 그리고 갓 짜낸 듯 신선함을 유지하는 최첨단 기술을 고려한다면 소비자들의 현명한 선택은 국산우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