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육가공품 시장, 연 평균 8.9% 성장

농식품부·aT,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국내 식육가공품 생산액이 지난 2015년 이후 연평균 8.9%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지난 11월11일 ‘2020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 : 식육가공품’을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식육가공품의 시장개요와 원료수급 현황, 생산 및 수출입 현황, 유통 및 판매구조, 소비자 동향 및 트렌드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2018년 기준 식육가공품 생산액은 전년 대비 2.4% 증가한 5조6천억 원이었으며, 2015년 4조3천억 원 이후 연평균 8.9% 수준으로 성장한 수치다.
1인 가구 및 캠핑 인구 증가, 가정간편식(HMR) 제품 증가로 양념육류, 소시지류, 건조조장육류, 식육함유가공품 생산액은 증가했으며, 대체제품 증가에 따른 수요 감소로 햄류, 식육추출가공품, 베이컨류의 생산은 감소했다.
세계 시장을 살펴보면 2019년 세계 식육가공품 시장규모는 4천237억 달러로 2015년 이후 연평균 2.4% 지속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규모는 2019년 기준 미국이 1천66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2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이 517억 달러(12.2%), 독일 286억 달러(6.7%)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39억 달러로 19위였다. 품목별로는 햄·소시지 시장이 1천543억 달러(36.5%), 냉장식육가공육(버거, 미트볼 등) 689억 달러(16.3%), 조리식품 618억 달러(14.6%) 순으로 큰 시장 규모를 보이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식육가공품 수출입 현황에서는 2019년 기준 수출액이 2천46만 달러, 수입액은 5천532만 달러로 집계됐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