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해충구제 LED 전등 지원사업에 대해 농가와 업체 사이 혼선을 빚고 있다.
조준영 경북도청 축산정책과 주무관은 “지난해에는 8W 이상 580∼620nm 일괄 공급했다. 올해에는 5년 이상 사용하는 방안으로 고품질 방역을 지원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비 50%(도비 15%, 시비 35%), 자담 50%다. 축사 내 모기퇴치 LED 램프와 설치비(콘트롤박스, 전선)로 120천/개로 지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모기퇴치 기능, 품질 인정지정 Q 마크, 시험성적서, 국내산 제품으로 선정이라는 문구를 넣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아울러 제조부터 설치, A/S 사후봉사 모든 과정을 제조회사에서 일괄 관리로 재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밝기(루멘) 값 차이에 따른 지원단가 차등적용으로 전력 낭비와 인근 농작물에 빛 간섭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또한 밝기(루멘) 값 차이에 따른 지원단가 차등적용으로 현행<도표>에서 지난해와 같은 8W 이상 580∼620nm 파장 제품에 최대 7천 원과 설치비 3, 5천 원을 되어야 전력 낭비와 소와 인근 농작물에 빛 간섭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를 사용한 목장 관계자는 "밝기(루멘)만 높인다고 더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며 파장대 발산과 함께 일정한 빛의 파장이 바닥에 까지 닿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 논문에 따르면 너무 밝은 파장은 산유량이 감소하고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져 도리어 전력 손실 외 착유량과 성장에 지장이 생긴다고 지적하고 있다.
연구 논문에 따르면 축사에 루멘을 높여 너무 밝은 파장은 가축 생리 리듬을 바꾸게 하면서 산유량이 감소하고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져 도리어 전력 손실 외 착유량과 성장에 지장이 있으며 최소 산란계와 같이 6∼8시간은 15W 이하로, 조금 어둠으로 휴식을 제공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광속(Luminous Flux)은 단위로 lm(루멘)을 뜻하며 광원에서 나오는 모든 빛의 합, 총 광량을 말한다. 조도(Illuminance)는 단위로 lux(룩스)를 뜻하며 일정한 평면이 밝게 비추는 정도를 말한다.
일례로 1평방미터를 1lm의 빛으로 고르게 비추면 그 안의 범위에서 조도 측정을 할 때 모든 곳에서 1lux가 나온다. 100lm의 빛을 1m²에 고르게 비추면 100lux이며 100lm의 빛을 10m²에 고르게 비추면 빛이 비취는 곳에서는 10lux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