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가금

닭 정자 만드는 핵심 세포, 더 안전하게 얼려 보존한다

독성 적은 신형 보호물질 적용… 유전자원 관리 기술 한 단계↑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닭의 정자를 만들어내는 핵심 세포를 기존 방식보다 안전하게 얼려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우수한 가축 품종을 미래 세대에 안정적으로 남기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구 대상은 ‘정원줄기세포’로, 닭이 정자를 계속 만들어낼 수 있도록 돕는 가장 중요한 세포다. 하지만 이런 세포를 얼리고 녹이는 과정에서 얼음이 생기면 세포가 쉽게 손상돼,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적되어왔다.

이에 지금까지는 ‘DMSO’라는 화학 물질을 사용해 세포를 보호해왔지만, 이 물질은 독성이 있어 세포의 기능을 약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진은 세포에 침투하지 않고 표면을 감싸 보호해주는 ‘폴리앰폴라이트’라는 물질을 새롭게 활용했다. 연구진은 다양한 농도로 실험한 결과, 이 물질을 사용한 세포는 해동 후에도 기능이 잘 유지되면서 독성 문제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가 닭뿐 아니라 소·돼지 등 다른 가축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가 유전자원 관리 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산학기술학회지’에 게재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류재규 동물바이오유전체과장은 “세포를 더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한 걸음 더 나아간 성과”라며 “미래 축산 경쟁력을 위해 유전자원 관리 연구를 계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