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구매자금 확대·무이자 전환…사료허실 차단 계도도
양돈업계가 폭등하고 있는 사료가격안정대책을 제안했다.
단기대책으로는 정부 비축 재고미의 사료원료 대체를, 중장기대책으로는 사료안정기금이 각각 포함됐다.
대한한돈협회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사료가격 안정대책을 마련, 정부에 건의했다.
한돈협회는 단기대책으로 쌀, 보리 등 재고곡물을 대체원료로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들 재고곡물이 영양성과 기호성 측면에서 15% 정도 옥수수 대체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국립축산과학원의 연구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한돈협회는 옥수수 가격의 절반 이하 수준인 재고미로 대체시 kg당 21원 정도의 사료가격 절감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3천450억원인 정부의 사료구매자금 지원 예산을 7천억원까지 확대하되 1.8%의 금리를 무이자로 전환하는 한편 농신보의 특례보증 한도 역시 2억원(재해특례보증 3억원)까지 늘려줄 것을 요구했다.
2년 일시상환이 이뤄져야 하는 사료구매자금의 상환시기도 5년까지 확대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사료업계에 대한 사료원료구매자금 지원규모를 2천억원(현재 647억원)까지 확대하고 금리도 무이자로 조정을 건의했다.
한돈농가와 실질적인 고통분담계획을 제출한 사료업체에 국한해야 한다는 게 전제조건이다. 한돈협회는 경기·강원북부지역에 대한 ASF 권역화 방역 해제를 통해 환적에 따른 사료비 증가와 지급률 저하 손실 최소화를 강력히 요청하기도 했다.
단 한푼이라도 사료비를 줄이기 위한 양돈현장의 노력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돈협회는 우선 사료허실을 최소화 하는데 집중해 줄 것을 양돈농가들에게 당부하는 한편 당장 양돈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 계도에 나서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