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길호 기자]
경기도 교육청이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개선’ 지침을 전면 보류하기로 함으로써 경기도 우수축산물 학교급식 사업을 통해 농가소득 증대와 학생들의 건강을 지킬 수 있게 됐다.
축산 농가와 친환경농민단체, 학부모, 시민사회단체 등의 반발로 결국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개선을 보류키로 한 것이다.
경기도 교육청은 지난 7월 24일자로 도내 각 학교에 공문을 보내 10월 1일부터 급식 식재료 구매 방식을 일부 변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본지 3642호 15면> 그 주요 내용은 기존 1개월 단위였던 식재료 구매방식 기간을 2~3개월로 연장하고, 동일 업체와의 연가 수의계약 횟수를 5회로 제한하며, 가공식품에 한정했던 공동구매를 농수축산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근 학교별로 공동구매를 추진토록 하는 내용이다.
이런 내용의 공문을 접한 축산단체와 G마크 학교급식협의회, 친환경농민, 학부모, 시민단체 등 49개 단체가 반발하며 지난 7일 경기도청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사진>을 갖고, 도 교육청의 개편 안을 전면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축산단체를 비롯한 49개 단체는 “경쟁 입찰 철회하고 아이들 친환경 밥상 지켜 내자”, “임태희 교육감은 식재료 경쟁 입찰 철회하라”, “학생건강 불안, 농민생존 위험, 경쟁입찰 철회” 등의 플래카드를 들어 외치며 예산 절감이라는 경제적 논리로 아이들의 밥상을 저질 식재료로 전락시키는 경쟁 입찰 지침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또 임태희 교육감과 교육청은 신뢰를 저버린 이번 사태에 사과하고, 민·관·정 협력 관계 회복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는 한편, 경기도 교육청은 공공성에 기초한 친환경급식 공급체계 강화 방안을 즉각 수립하고, 중앙정부와 협력하여 지속가능한 친환경학교무상급식 실시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 단체들과 면담 자리에서 “저질 식재료는 사용할 수 없다. 친환경급식 체제는 유지되어야 한다.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공적시스템이 무너지면 사회적 논란이 온다. 친환경학교급식이 지속 유지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전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은 축산단체를 비롯한 49개 단체의 강력한 반발에 따라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침 변경 지침을 일단 보류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