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배양육이 축산분야의 탄소중립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윤재 서울대 명예교수(축산바로알리기연구회장·사진)는 최근‘대체육 생산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한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의 제26회 식량안보세미나(온라인)에 토론자로 참석, 이같이 강조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통해 배양육, 식물성분 고기 등 이른바 육류대체식품 소비 확대로 가축사육 감축과 온실가스 저감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강한 우려를 표출한 것이다.
최윤재 교수는 이날 세미나에서 ‘배양육’이 피할 수 없는 과학 연구라는 점은 인정했다. 그러나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한 모험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최윤재 교수는 “배양육을 상품화 하고 국민의 식탁에 올리는 과정은 배양육 연구와는 또 다른 문제”라며 “안전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너무 많은 지금, 정부가 나서 배양육을 국민 식단으로 옹호하는 사태, 특히 탄소중립의 축산 분야 대응책으로 추진하는 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윤재 교수에 따르면 배양육을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량만을 감안한 것일 뿐 배양육 생산에 필요한 각 에너지와 부산물 등은 충분하게 고려하지 못한 처사로 분석했다.
소 사육시 배출되는 메탄가스 보다 배양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환경에 더 유해할 수 있다는 지난 2019년 옥스퍼드 대학의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라는 것.
최윤재 교수는 “가장 중요한 식품 안전성 문제에서 배양육은 불확실성이 너무 많은 인공물”이라며 “우선적으로 소비자가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법제화를 통해 안전을 보장하되 시간을 두고 많은 연구와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