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기자] 신창섭 대표(㈜버박코리아) 이제 겨울이다. 양돈장에게 겨울은 ‘춥다’라는 말보다 ‘PED’라는 말이 더 빨리 생각난다. 그만큼 겨울에 문제를 많이 일으키며 경제적으로 피해가 큰 질병이기 때문일 것이다. PED(Porcine Epidemic diarrhea)는 1970년대 유럽에서 시작됐…
[축산신문 기자] 박규현 교수(강원대학교) 지난달 11일부터 14일까지 국제낙농연맹(International Dairy Federation; IDF)의 비즈니스 미팅을 시작으로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낙농분야 세계 최대 국제행사인 2018 국제낙농연맹 연차총회(IDF 2018 World Dairy Summit)가 대전컨벤…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덥다. 아니 뜨겁다. 2018년의 여름은 이렇게 지나가고 있다. 2018년 8월 17일, 기상청은 2018년 6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2018년과 1994년의 폭염을 비교한 자료를 발표했다. 두 해 모두 우리나라 주변 대기 높은 곳에 티벳 고기압이 자리를 잡았고 그 아…
전 중 환 농업연구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TV를 켜면 반려동물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제작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쉽게 볼 수 있으며, 반려동물 관련 문제들이 뉴스의 주요내용으로 다뤄질 정도로 반려동물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축산물을 구매할 때 축산물…
[축산신문 기자] 전중환 농업연구사9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우리가 살아가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단어들 중의 하나가 도덕(道德)과 윤리(倫理)일 것이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많은 교육과정들 속에서 수없이 반복되었던 단어로 사람의 사고나 행위 등에 대해 판단해…
[축산신문] 김동균 이사장((전) 상지대 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오늘날 인류가 지구 생태계 전체를 지배할 만큼 수가 많아지게 된 으뜸 요소는 ‘먹이’이다. 살아 움직일 안전한 에너지가 없었다면 인류의 증식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농업이 요즘처럼 발달되기 전까지만 해도 식량을 수확하기 직…
[축산신문] 전중환 농업연구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0여 년 전, 처음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동물복지에 대해 강의를 할 때였다. 강단에서 강의주제인 동물복지라는 제목이 스크린 화면에 뜨자마자 몇몇 분들은 ‘사람복지도 안 되는데 동물복지가 무슨 얘기야?’라며 웃음을 보이셨다. 그 때 우리…
김동균 이사((전) 상지대 교수, 강원도농산어촌미래연구소) 사람들이 아무리 사네, 못 사네 아우성을 쳐도 계절의 변화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찾아온다. 강추위로 고생하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바람에는 봄 내음이 담겨져 있으며 산의 색깔조차 새순을 틔우는 색채로 변하고 있다. 봄의 전령이라면, 개…
남 성 우 박사(前 농협대학교 총장) 무허가축사 적법화는 생존의 문제다. 세종대왕은 “국가는 백성을 근본으로 삼고 백성은 식량을 하늘로 삼는다(國以民爲本 民以食爲天)”고 했다. 우리나라 축산농가는 12만여호, 그들은 백성들이 하늘처럼 여기는 축산식품을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동…
석 희 진 원장(한국축산경제연구원) 대선 과정에 우리 축산인들은 축산관련단체협의회를 중심으로 공약을 발굴하고 여러 경로를 통해 각 당에 전달했었다. 또 각 당에서도 이를 대선공약으로 채택하겠다는 약속을 했었다. 그런데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공약집을 살펴보면 축산은 철저히 소외되고…
박 춘 근 교수(강원대학교) 최근 국내외의 환경변화에 의해 우리나라 축산업이 어려움과 위기가 반복되고 있다. 그 원인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료원료비의 증가, 축산물의 무역 개방에 의한 경쟁력 약화, 질병발생에 의한 가축의 감소와 노동력 및 예산낭비 등 많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모든 피해는…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골목길에 강아지가 눈 똥이 있다. 주위를 지나가던 참새와 닭도 피한다. 슬퍼하는 똥을 위로해주는 것은 흙. 시간은 지나 겨울이 되고 봄이 왔다. 근처에 민들레가 싹을 피우고 강아지 똥에게 거름이 필요하다고 한다. 강아지 똥은 민들레를 보듬고 기꺼이 거름이 된다. 그래서 민들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