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설>ICT 융복합 축산, 획기적 예산지원 필요하다

  • 등록 2014.10.17 15:31:50

 

본지는 최근 창간 특집호에서 ICT 융복합 축산 육성의 길을 찾기 위한 좌담회(제2840호 C12~13)를 가진데 이어 사물인터넷 전문가인 조병완 한양대교수와 특별인터뷰를 통해 ICT 융복합 축산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짚어봤다.
특히 조 교수가 말하는 사물인터넷의 축산 접목은 FTA, 악성가축질병, 안티축산 등으로 앞길 막막한 축산업계에 새로운 희망을 안겨 주기에 충분했다.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사물 인터넷이란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사물이 스스로 분석하고, 판단하고, 지시하는 개념이다. 사물인터넷의 핵심 기술은 위치, 온도, 습도, 열, 조도 등 사물 주위 환경을 파악하는 센서 기술이다.
그러니까 이 센서 기술이 축산에 접목이 되면 우리가 풀지 못했던 숙제를 풀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동안 로봇 착유기, 차량 GPS 등이 첨단 기술로 각광 받고 있지만 이는 IT 기술에 불과하고 사물인터넷의 접목 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축의 건강 상태를 센서로 확인하여 치료 또는 예방에 필요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악성가축질병으로 인한 피해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AI의 경우 철새가 질병 전파의 주범이라면, 사물인터넷을 통해 철새의 생태를 파악해 AI 전파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AI나 FMD 차단 방역이 어려운 것은 그 악성 질병의 전파 과정을 쉽게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때문에 소나 돼지, 닭이나 오리가 말을 할 수 있다면 어디서 어떻게 감염됐는지 파악하기가 좀 더 쉽다는 말이 나온다. 바로 그거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가축이 말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기술이 상당히 발전해 있는데도 불구하고 축산 현장은 물론 정책 당국에서조차 이를 잘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직은 먼 나라의 이야기로 치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축산현장에서는 그럴 수 있다. 축산으로 넉넉지 않은 살림살이에서 먼 장래를 내다보고 투자를 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좋은 줄 알지만 선뜻 사물인터넷 기술의 현장 접목을 결정하지 못한다. 그러나 정부는 달라야 한다. 눈앞의 성과보다는 먼 장래를 내다보는 안목과 의지가 요구된다.
물론 정부도 ICT 융복합 축산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지난 7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ICT융복합 기술을 양돈에 접목한 결과 성과가 좋았다며, 축산 시설 현대화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ICT 융복합 기술을 연계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농림축산식품부의 ICT 융복합 기술과 관련한 예산은 100억도 안된다. 이 정도로는 어림없다. 그저 흉내 내는 수준에 불과하다.
ICT융복합 기술이 축산 현장에 제대로 접목되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센서 기술의 개발과 함께 동물의 행동 특성에 따른 충분한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 센서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사물인터넷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 베이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의 의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이며, 이 분야의 획기적인 예산 증액이 요구되는 이유다. 센서 기술은 이미 수준급에 있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못해서 첨단 기술이 썩고 있다면 이것이야말로 부끄러운 일이다.
그렇지 않아도 박근혜 정부는 창조 경제를 말하고 있다. 창조 경제를 뒷받침하는 창조 축산은 6차산업화도 좋지만 우선 이 첨단 기술이 현장에 접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