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봉

스마트 양봉, 고령화·기후변화 넘는 새 돌파구 되나

센서·앱으로 실시간 벌통 관리…노동력 줄고 정밀화
투자 부담 걸림돌…정부·지자체 적극 뒷받침이 관건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국내 양봉산업은 최근 이상기후와 꿀벌집단 폐사 및 실종 사태, 꿀샘식물(밀원수) 부족, 꿀벌 질병 및 병해충 확산, 수입꿀 급증 등으로 양봉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지속가능한 양봉산업을 위한 하나의 해법으로 스마트 양봉이 국내 양봉산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는 단순히 벌통을 관리하던 전통 양봉에서 벗어나, 사물인터넷(IoT), AI, 센서 기술 등을 활용해 적은 노동력을 통해 꿀벌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농업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고령화 등에 따른 농업생산 인력 확보는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더군다나 양봉업은 타 농업에 비해 고령화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이런 만큼 스마트 양봉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벌통에 센서를 설치하면 벌통 내부의 온·습도는 물론 무게, 꿀벌의 활동, CO₂ 농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과 데이터 제공을 통한 꿀벌의 건강 상태와 꿀 수확 시기를 파악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평시에도 양봉 현장 주변 상황을 CCTV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이외도 꿀벌 먹이 공급, 물 공급, 사료(설탕)용해기 작동, 비가림시설 자동 커튼 등은 스마트폰 앱 하나로 원격조정이 가능해 매우 편리하게 양봉장 시설을 관리할 수 있다.
반면에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만큼 비용적인 측면에서 업계의 고민이 크다. 따라서 스마트 양봉이 관련 분야에 잘 정착하려면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실례로 충남 부여군 송곡리 일대에 국내 최초로 스마트 양봉시스템을 도입한 스마트 양봉장이 운영 중이다. 이곳 스마트 양봉장은 부여군에서 ‘꿀사랑협동조합’에 가입한 회원 5명이 의기투합해 마련한 스마트 공동 양봉장으로 최근 농가들의 양봉 선진 견학코스로 손꼽힌다.

이곳 스마트 양봉장은 1천200평 규모의 쾌적한 공간에 비가림시설이 완비되어 농가당 80~90 벌무리(봉군)를 사육 관리 중이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관리동, 자재 창고, 저온저장고, 사양급이, 사료(설탕)용해기 시설 등을 공동으로 사용함에 따라 초기 시설투자 비용 절감에도 큰 도움을 준다.
꿀사랑협동조합 회장직을 겸하고 있는 강재선 한국양봉협회 충남지회장은 “우리 양봉 농가의 가장 큰 고민은 노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 문제가 앞으로 점차 심화할 수밖에 없다”며“스마트 양봉은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양봉산업에 더욱 관심을 두고 아낌없는 지원을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